평창동계올림픽이 2년이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올해 안에 완공할 예정인, 6개 신설 경기장의 평균 공정률이 65% 수준을 보이는 등, 대회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이 가운데 2곳을, 올림픽 이후에도 활용하기로 했는데요.
보도에 임상재 기자입니다.
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나면 철거할 예정이었던 강릉 하키센터와 강릉 스피드스케이트 경기장 등 2곳이 올림픽 이후에도 동계스포츠 체육시설로 활용됩니다.
이들 경기장이 국가 지방재정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구체적인 활용계획도 마련됩니다.
정부는 오늘 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8차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올림픽대회 지원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황교안 / 국무총리
"세계가 인정하는 성공 올림픽이 될 수 있도록 대회운영은 물론 사후활용까지도 세심하게 준비해 경제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경제 올림픽을 만들어내야 하겠습니다."
위원회는 또 내년 4월까지 12만 제곱미터 부지에 4층 규모로 국제방송센터를 짓기로 했습니다.
총 사업비 945억 원이 투입됩니다.
이와 함께 6백 세대 규모의 평창선수촌과 9백22세대의 강릉선수촌, 2천5백 세대가 넘는 강릉미디어촌을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올 12월까지는 우리 문화와 첨단 기술이 조화를 이룬 개폐회식 운영계획을, 내년 2월까지는 성화봉송 계획을 최종 확정할 예정입니다.
황교안 / 국무총리
"우리의 강점인 IT와 첨단기술을 올림픽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IT 강국으로서의 대한민국을 세계에 각인시켜 나가야 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림픽에 5G 이동통신과 사물인터넷, 4K UHD 등 첨단 IT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는 한편 온실가스 발생량을 감축한 지속가능한 저탄소 그린 올림픽 구현을 추진합니다.
KTV 임상재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830 (2016~2018년 제작) (65회) 클립영상
- 박 대통령 이란 국빈 방문…제2의 중동붐 이끈다 02:19
- 국방부 "북, 무수단 미사일 추가 발사 가능성 있다" 01:43
- 정부, '평창동계올림픽' 강릉하키센터 등 2곳 존치 결정 02:16
- 다음달 1일부터 '봄 여행주간'…'체험 행사' 풍성 02:05
- 日 '골든위크'…일본인 관광객 몰려온다 01:53
- '황금연휴' 풍성한 혜택·즐길거리 마련 01:53
- 경제혁신 3개년 계획…창조경제 구현 02:56
- KTV-세계태권도연맹 상호 협력 '업무협약' 00:30
- 4월 문화가 있는 날…북 콘서트, 공연 풍성 [현장 속으로] 05:04
- 노쇼(NO-show ·예약 부도) [카드뉴스] 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