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에너지신산업 육성…42조원 투자
등록일 : 2016.07.06
미니플레이
정부가 에너지미래전략위원회 출범식에서 에너지신산업 성과 확산과 규제개혁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오는 2020년까지 42조 원을 투자해 태양열, 풍력 등 신산업 확산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총 42조 원을 투자해 태양열과 풍력 등 에너지 신산업 확산에 나섭니다.
우선, 신재생 에너지 확산을 위해 2020년까지 총 30조 원을 투자해 석탄 화력 26기에 해당하는 1천300만kW 규모의 발전소를 확충합니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발전소 생산 전력 중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내용의 공급 의무화 제도를 시행합니다.
특히 2018년 신재생 공급 의무비율을 이번 대책 발표와 함께 기존 4.5%에서 5.%로 높였고, 2020년 의무비율도 6%에서 7%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싱크> 채희봉 산업통산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
"이러한 의무비율 상향으로 인해서 신재생 발전설비에 8.5조 원이 추가로 투자되고, 석탄 화력 6기에 해당하는 300만kW 규모의 신재생 발전소가 설치됩니다.“
정부는 또, 총 2.3GW 규모의 태양광·해상풍력 등 8대 신재생 프로젝트를 추진해 2020년까지 내수 12조 원, 고용 3만 명 창출하고, 해외시장 공략에도 나설 계획입니다.
이외에도 에너지저장장치 활용촉진요금 적용 기간을 기존 1년에서 10년으로 늘려 활용도를 높이고, 태양광·풍력 발전 설비와 에너지저장장치를 연계하면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3천억 원 규모인 국내 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을 2020년까지 6천억 원으로 늘리고, 수출도 규모도 3조6천억 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 2022년까지 2조원을 투자해 가정과 기업의 전력미터기와 가스미터기를 스마트미터기로 바꿔 전국적인 스마트그리드 기반을 마련합니다.
싱크> 채희봉 산업통산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
"전기 AMI를 활용해서 소비자가 다양한 요금을 선택할 수 있는 시간대별 차등요금제를 올해 하반기 시범사업을 거쳐서 AMI 보급과 함께 내년도부터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에너지컨설팅과 에너지 효율 관리 등 스마트계량기 관련 비즈니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는 2020년까지 42조 원을 투자해 태양열, 풍력 등 신산업 확산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총 42조 원을 투자해 태양열과 풍력 등 에너지 신산업 확산에 나섭니다.
우선, 신재생 에너지 확산을 위해 2020년까지 총 30조 원을 투자해 석탄 화력 26기에 해당하는 1천300만kW 규모의 발전소를 확충합니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발전소 생산 전력 중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내용의 공급 의무화 제도를 시행합니다.
특히 2018년 신재생 공급 의무비율을 이번 대책 발표와 함께 기존 4.5%에서 5.%로 높였고, 2020년 의무비율도 6%에서 7%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싱크> 채희봉 산업통산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
"이러한 의무비율 상향으로 인해서 신재생 발전설비에 8.5조 원이 추가로 투자되고, 석탄 화력 6기에 해당하는 300만kW 규모의 신재생 발전소가 설치됩니다.“
정부는 또, 총 2.3GW 규모의 태양광·해상풍력 등 8대 신재생 프로젝트를 추진해 2020년까지 내수 12조 원, 고용 3만 명 창출하고, 해외시장 공략에도 나설 계획입니다.
이외에도 에너지저장장치 활용촉진요금 적용 기간을 기존 1년에서 10년으로 늘려 활용도를 높이고, 태양광·풍력 발전 설비와 에너지저장장치를 연계하면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3천억 원 규모인 국내 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을 2020년까지 6천억 원으로 늘리고, 수출도 규모도 3조6천억 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 2022년까지 2조원을 투자해 가정과 기업의 전력미터기와 가스미터기를 스마트미터기로 바꿔 전국적인 스마트그리드 기반을 마련합니다.
싱크> 채희봉 산업통산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
"전기 AMI를 활용해서 소비자가 다양한 요금을 선택할 수 있는 시간대별 차등요금제를 올해 하반기 시범사업을 거쳐서 AMI 보급과 함께 내년도부터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에너지컨설팅과 에너지 효율 관리 등 스마트계량기 관련 비즈니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830 (2016~2018년 제작) (109회) 클립영상
- 피해 잇따라…호우특보 지역 '주의 당부' 02:03
- 올해 첫 태풍 '네파탁'… 주말에 영향권 02:29
- "실내 습도 관리하세요"…장마철 건강관리법 01:54
- ASEM 내 '중견국' 역할…회원국간 협력 주도 02:14
- 서비스경제 발전전략… 서비스-제조 융복합 02:17
- 리우올림픽 D-30..."땀과 눈물의 결실 맺도록 노력" 02:52
- 리우올림픽 대표 선수들, 막바지 훈련 03:40
- 리우올림픽 감염병 예방 '총력 대응' 02:13
- 정부, 에너지신산업 육성…42조원 투자 02:31
- 전력·가스 민간 개방…"12만 명 고용효과" 02:17
- '미래성장 경제정책포럼' 출범…"상생모델 제시" 02:05
- 울산 동쪽 52㎞ 해상서 '규모 5.0' 지진 발생 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