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총회 참여 40여개국, 북한 핵실험 규탄 성명
등록일 : 2016.09.23
미니플레이
앵커>
유엔 총회에 참석한 40여개 나라 대표들이 북한 핵무기와 핵프로그램 폐지를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냈습니다.
북한의 잇따른 핵도발로 형성된 '국제사회 대 북한'의 구도가 더욱 선명해진 것으로 정부는 평가하고 있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제71차 유엔 총회에 참여한 40여 개국 대표들이 북한의 핵무기와 핵 프로그램 폐기를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습니다.
이들은 공동성명에서 "북한은 21세기 핵실험을 한 유일한 국가"라며 "이를 가장 강력한 언어로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6자회담 공동선언문 의무를 준수하고, 모든 핵무기와 핵 프로그램 폐기, 관련 활동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CTBT는 모든 종류의 핵실험을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지난 1996년 채택됐지만 세계 183개국이 조약에 서명하고 이 중 166개국이 비준했습니다.
발효를 위해 비준이 필요한 원자력 능력 보유국 44개 나라 중 북한과 인도, 파키스탄, 미국 등 8개국이 비준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윤병세 외교장관은 "북핵은 이 시대의 가장 심각하고 급박한 안보 위협"이라며 "지금 북한의 핵 야욕을 꺾지 못한다면 국제사회 모두가 후회하는 날이 올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미국과 일본, 독일 등 10여 개 나라의 외교장관도 별도 발언을 통해 북한의 잇따른 도발을 비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녹취> 아베 신조 / 일본 총리
"북한에 대응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과거 우리가 적용했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대응이 돼야 합니다."
외교부는 이번 유엔 총회를 계기로 북한의 연이은 핵도발로 형성된 국제사회 대 북한의 구도가 더욱 선명하게 부각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현재까지 91개 나라와 13개 국제·지역기구가 북핵 규탄성명 등 관련 입장을 발표했다고 외교부는 전했습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엔 총회에 참석한 40여개 나라 대표들이 북한 핵무기와 핵프로그램 폐지를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냈습니다.
북한의 잇따른 핵도발로 형성된 '국제사회 대 북한'의 구도가 더욱 선명해진 것으로 정부는 평가하고 있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제71차 유엔 총회에 참여한 40여 개국 대표들이 북한의 핵무기와 핵 프로그램 폐기를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습니다.
이들은 공동성명에서 "북한은 21세기 핵실험을 한 유일한 국가"라며 "이를 가장 강력한 언어로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6자회담 공동선언문 의무를 준수하고, 모든 핵무기와 핵 프로그램 폐기, 관련 활동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CTBT는 모든 종류의 핵실험을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지난 1996년 채택됐지만 세계 183개국이 조약에 서명하고 이 중 166개국이 비준했습니다.
발효를 위해 비준이 필요한 원자력 능력 보유국 44개 나라 중 북한과 인도, 파키스탄, 미국 등 8개국이 비준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윤병세 외교장관은 "북핵은 이 시대의 가장 심각하고 급박한 안보 위협"이라며 "지금 북한의 핵 야욕을 꺾지 못한다면 국제사회 모두가 후회하는 날이 올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미국과 일본, 독일 등 10여 개 나라의 외교장관도 별도 발언을 통해 북한의 잇따른 도발을 비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녹취> 아베 신조 / 일본 총리
"북한에 대응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과거 우리가 적용했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대응이 돼야 합니다."
외교부는 이번 유엔 총회를 계기로 북한의 연이은 핵도발로 형성된 국제사회 대 북한의 구도가 더욱 선명하게 부각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현재까지 91개 나라와 13개 국제·지역기구가 북핵 규탄성명 등 관련 입장을 발표했다고 외교부는 전했습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830 (2016~2018년 제작) (162회) 클립영상
- "北, 대화의 장에 나오지 않을 것…도발 심화" 02:13
- 유엔총회 참여 40여개국, 북한 핵실험 규탄 성명 02:10
- 경주 지진피해로 첫 '특별재난지역' 선포 01:38
- "지진 대응체계, 다 뜯어고친다는 각오로 개편" 02:20
- "규모 3~4 여진, 최대 수개월간 지속될 수도" 01:56
- 국가 SOC 시설 특별 점검…내진 보강 추진 02:10
- 공공·금융노조 파업…"불법행위 적극 대응" 02:18
- "젊은이들 좌절 풍조 걱정…용기 전해달라" 02:07
- 박 대통령, 군 장성 진급·보직신고 받아 00:22
- '올림픽 성공개최' 협력…한중일 스포츠장관 한 자리에 02:23
- '장애를 넘어'…리우패럴림픽 선수단 귀국 00:30
- 6.25전쟁 후 66년 만에 UN군 참전용사 방한 02:01
- 주한미군 사건·사고 상담센터 평택사무소 개소 0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