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보호무역주의를 강조해 온 트럼프 정부 출범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우리 정부도 분주한 모습입니다.
정부는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민관 공동대응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신국진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수출 규모는 700억 달러, 전체 수출의 13.3%로 중국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이런 가운데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운 트럼프 정부 출범이 임박하면서 우리나라 수출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오늘 열린 제5차 대미통상 실무작업반 회의에서 미국 통상 정책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응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새로 출범하는 미국의 정부의 통상정책에 예의주시하고, 특이상황이 발생하면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민간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우선, 업계와 연구기관에 각 주체에 맞는 대미 통상현안 대응을 주문했습니다.
이에 따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산업연구원은 미국 신정부의 통상정책을 전망ㆍ분석하고, 우리 산업에 미칠 영향을 업종별로 검토할 계획입니다.
무역협회는 한ㆍ미 FTA의 상호 호혜적 성과가 미국 측에 충실히 전달될 수 있도록 민간의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긴밀히 소통해 나갈 방침입니다.
정부도 대미 통상현안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합리적인 개선안을 마련하고, 양국 간 산업ㆍ투자협력 기회도 적극 발굴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싱크> 우태희 /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협의회 기능은 통상 현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아웃리치, 민관 공동대응을 해 나가고요. 업종별 분석이나 또 미래 지향적인 협력 방향을 수립해나가겠습니다."
정부는 대미통상협의회와 실무 작업반을 통해 민관 공동 대응전략을 지속 점검하고, 보완해 나갈 예정입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830 (2016~2018년 제작) (246회) 클립영상
- 생산자물가 17개월 만에 최고… 안정 최우선 02:22
- 황 권한대행 "외국인 맞춤형 관광상품 개발해야" 02:14
- 외국인 대상 '코리아그랜드세일' 내일 개막 02:09
- 나흘째 의심신고 '0건'…"경각심 늦춰선 안돼" 02:07
- 호주산 신선 달걀 '불합격'…"반송 또는 폐기" 00:33
- 사단 이하 의무대, 입실 3일 넘으면 즉시 후송 02:20
- 중앙통합방위회의…"안보상황 위중, 철저한 대비" 02:18
- 소공인 사업장 방문…"기술강국 토대 조성" 00:31
- 특검 "영장 기각 유감…흔들림 없이 수사 진행" 01:56
- 감기 지속되면 '폐렴' 의심…노인 환자 급증 01:44
- '대미 통상 불확실성'…민관 공동대응체계 구축 02:02
- 다음 달 22일 '규제개혁 국민토론회' 02:15
-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우리 농수산식품 모음집' 제작·배포 0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