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최저보험료' 1만 3천 원…재산 기준 부과 축소
등록일 : 2017.01.24
미니플레이

이번 개편안에서 변동이 가장 큰 부분이 지역가입자인데요.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을 대폭 개선해 서민 부담을 줄였습니다.
이어서 신국진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소득이 일정기준 이하인 지역가입자에게는 정액의 최저보험료가 부과됩니다.
1~2단계에서는 연소득 100만 원 이하 세대에 1만 3천100 원을 3단계에서는 연소득 336만 원 이하 세대에 1만 7천120 원을 부과합니다.
최저보험료 적용으로 오히려 보험료가 오르는 세대는 6년간 인상분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연소득 500만 원 이하 가입자에게 적용하던 평가소득은 폐지됩니다.
최저보험료 적용 대상이 아닌 지역가입자는 종전처럼 종합과세소득과 재산, 자동차를 기반으로 보험료가 매겨지고, 자동차 등 재산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보험료는 서서히 줄입니다.
소득이 전혀 없어도 주택과 자동차를 보유했다는 이유로 많은 보험료를 부과해 형평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싱크> 노홍인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
"소득과 재산의 수준에 따른 형평성을 높이기 위해서 지역가입자는 평가소득을 폐지하고 서민층의 재산과 자동차로 인한 보험료 부담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1단계에는 시가 2천 400만 원 이하 주택과 4천만 원 이하 전세금에 보험료를 부과하지 않고, 3단계에서는 시가 1억 원 이하 주택과 1억 7천만 원 이하 전세금에 보험료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자동차에 부과하는 보험료도 개편해 1단계에서 1,600cc 이하 소형차 면제를 시작으로 3단계는 4천만 원 이상의 고가 자동차에만 보험료를 부과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이밖에 공적연금 소득의 20%에만 부과되는 보험료를 단계적으로 50%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