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개편안에서 변동이 가장 큰 부분이 지역가입자인데요.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을 대폭 개선해 서민 부담을 줄였습니다.
이어서 신국진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소득이 일정기준 이하인 지역가입자에게는 정액의 최저보험료가 부과됩니다.
1~2단계에서는 연소득 100만 원 이하 세대에 1만 3천100 원을 3단계에서는 연소득 336만 원 이하 세대에 1만 7천120 원을 부과합니다.
최저보험료 적용으로 오히려 보험료가 오르는 세대는 6년간 인상분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연소득 500만 원 이하 가입자에게 적용하던 평가소득은 폐지됩니다.
최저보험료 적용 대상이 아닌 지역가입자는 종전처럼 종합과세소득과 재산, 자동차를 기반으로 보험료가 매겨지고, 자동차 등 재산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보험료는 서서히 줄입니다.
소득이 전혀 없어도 주택과 자동차를 보유했다는 이유로 많은 보험료를 부과해 형평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싱크> 노홍인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
"소득과 재산의 수준에 따른 형평성을 높이기 위해서 지역가입자는 평가소득을 폐지하고 서민층의 재산과 자동차로 인한 보험료 부담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1단계에는 시가 2천 400만 원 이하 주택과 4천만 원 이하 전세금에 보험료를 부과하지 않고, 3단계에서는 시가 1억 원 이하 주택과 1억 7천만 원 이하 전세금에 보험료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자동차에 부과하는 보험료도 개편해 1단계에서 1,600cc 이하 소형차 면제를 시작으로 3단계는 4천만 원 이상의 고가 자동차에만 보험료를 부과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이밖에 공적연금 소득의 20%에만 부과되는 보험료를 단계적으로 50%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830 (2016~2018년 제작) (248회) 클립영상
- 황 권한대행 기자회견…"사드 배치 조속히 추진" 02:05
- "경제살리기 총력…자신감 회복 위해 노력" 02:14
- "위기 극복 위해 국민적 대통합 중요" 02:32
- 월급 외 소득 많은 직장인, 보험료 오른다 01:41
- 연소득 2천만 원 넘으면 지역가입자로 전환 01:48
- '최저보험료' 1만 3천 원…재산 기준 부과 축소 01:51
- 건강보험료, 서민 부담 줄이고 형평성 강화 01:44
- 설 대비 달걀 2천200만 개 공급…가격안정 02:10
- 새해 병역판정검사 시작…결핵 검사 포함 01:54
- '27일 오전' 가장 혼잡…우회도로 이용 01:54
- "참담…부당한 차별 원천방지 규정 마련 검토" 01:41
- 이산가족과 간담회…"해결 위해 꾸준히 노력" 00:26
- 황 권한대행, 한국공학한림원 신년하례식 참석 0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