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 3천여 개 학교서 45만명 참여
등록일 : 2017.03.02
미니플레이
앵커>
자유학기제가 도입된 지 올해로 2년째를 맞았습니다.
올해는 전국적으로 3천 곳이 넘는 중학교에서 45만 명의 학생들이 참여할 예정입니다.
김성현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중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시험 부담 없이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자유학기제.
지난해 처음으로 전면시행에 들어간 자유학기제는 교육부 조사결과 참여 학생 1인당 평균 8회 이상의 체험활동을 했으며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7점 인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면 시행 2년차를 맞는 올해에는 전국 3천208개 중학교에서 약 45만 명이 참가할 예정입니다.
특히 올해는 내실화에 중점을 뒀습니다.
우선 교원 대상 연수를 기존의 중학교 1학년 교원 중심에서 전체 교원을 대상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또 700개의 교사 연구회를 지원하고 자유학기활동 평가 매뉴얼과 주제선택 활동 자료집 등을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습니다.
싱크> 황교안 / 대통령 권한대행(제9회 국무회의)
"보다 양질의 체험처를 발굴하고, 자칫, 소외되기 쉬운 농어촌 학생들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에 각별히 노력을 해 나가야 하겠습니다."
교육 기부 진로체험 인증기관을 확대하고 찾아가는 진로체험 버스의 지원 대상을 농산어촌와 중소도시 소재 학교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자유학기제의 성과가 일반학기까지 이어지도록 자유학기와 일반학기 연계 운영학교를 지난해 80곳에서 올해는 406곳으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 내년부터는 희망 학교에 한해 2학기 이상의 자유학기를 실시하는 자유학년제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KTV 김성현입니다.
자유학기제가 도입된 지 올해로 2년째를 맞았습니다.
올해는 전국적으로 3천 곳이 넘는 중학교에서 45만 명의 학생들이 참여할 예정입니다.
김성현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중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시험 부담 없이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자유학기제.
지난해 처음으로 전면시행에 들어간 자유학기제는 교육부 조사결과 참여 학생 1인당 평균 8회 이상의 체험활동을 했으며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7점 인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면 시행 2년차를 맞는 올해에는 전국 3천208개 중학교에서 약 45만 명이 참가할 예정입니다.
특히 올해는 내실화에 중점을 뒀습니다.
우선 교원 대상 연수를 기존의 중학교 1학년 교원 중심에서 전체 교원을 대상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또 700개의 교사 연구회를 지원하고 자유학기활동 평가 매뉴얼과 주제선택 활동 자료집 등을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습니다.
싱크> 황교안 / 대통령 권한대행(제9회 국무회의)
"보다 양질의 체험처를 발굴하고, 자칫, 소외되기 쉬운 농어촌 학생들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에 각별히 노력을 해 나가야 하겠습니다."
교육 기부 진로체험 인증기관을 확대하고 찾아가는 진로체험 버스의 지원 대상을 농산어촌와 중소도시 소재 학교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자유학기제의 성과가 일반학기까지 이어지도록 자유학기와 일반학기 연계 운영학교를 지난해 80곳에서 올해는 406곳으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 내년부터는 희망 학교에 한해 2학기 이상의 자유학기를 실시하는 자유학년제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KTV 김성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830 (2016~2018년 제작) (272회) 클립영상
- 군-롯데 사드부지 교환계약…"가능한 빨리 배치" 01:52
- "북 국제규범 위반"…테러지원국 재지정 검토 02:00
- "북, 말레이시아 당국 조사에 성실히 응해야" 00:39
- "'불승인' 이해해 달라…검찰서 충실히 수사" 02:07
- 자유학기제 3천여 개 학교서 45만명 참여 01:52
- "교육, 함께 고민해요"…올해 첫 학부모콘서트 02:22
- 조선3사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무급휴직 요건 완화 02:06
- 예비창업자 모여라…'창업·혁신 페스티벌' 개최 02:13
- 조선·철강·서비스업 등 5개 기업 사업재편 승인 01:56
- 동계국제대회서 잇따라 선전…"이제는 평창" 02:04
- 템플스테이와 평창동계올림픽의 만남 02:10
- 올 상반기, 메르스·AI 등 감염병 주의 필요 01:55
- 외교부 "광저우 임시정부 청사 건물 현존 확인" 00:26
- 권익위, 국가기술자격 제도 개선 간담회 개최 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