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아이는 출입금지" 노키즈존…찬반 입장 "팽팽"
등록일 : 2017.11.23
미니플레이
요즘 유아나 어린이의 입장을 제지하는 노키즈존 카페나 음식점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두고 찬반 논란이 뜨거운데요.
최근에는 아이들을 환영하는 웰컴키즈존도 등장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은우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8살, 4살 두 아이의 엄마 강혜영 씨.
강 씨는 얼마 전 식당에 들어가려다가 아이가 있다는 이유로 제지를 당하고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인터뷰> 강혜영 / 서울시 성북구
“당연히 밥을 먹게 될 줄 알았는데 식당 앞에 노키즈존이라 쓰여 있어서 당황스럽고 발길을 딴 데로 돌렸는데 기분이 안 좋았어요.”
이런 노키즈존이 카페나 음식점을 넘어 펜션 등에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한 인터넷 사이트에 따르면 올 11월 기준으로 전국의 노키즈존 업소는 250여 곳에 이릅니다. 노키즈존에 대한 찬반은 입장에 따라 달랐습니다.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최근 아르바이트생 10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75.9%가 노키즈존에 대해 "찬성한다"고 답했습니다.
인터뷰> 박누리 / 아르바이트 경험자
“기저귀라고 하죠. 그걸 그냥 탁자에 놓고 가신 경우도 많았거든요.”
인터뷰> 박시명 / 아르바이트 경험자
“서로의 취향을 존중할 수 있는..중략..서로가 편하게 편한 공간을 보낼 수 있을 것 같아서 노키즈 존을 찬성합니다.”
반면 경기연구원이 천 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노키즈존이 과잉 조치인 지에 대해 물어본 결과 '그렇다'고 답한 사람이 47%로 '그렇지 않다' 응답보다 2배가량 많았습니다.
인터뷰> 정계순 / 서울시 성북구
“아이들을 안 받는다는 건 찬성할 수 없죠. 가족끼리 갔다가 아이들을 안 받으면 어른들도 못 들어가는 것이고…”
노키즈존에 대한 찬반 논란 속에 웰컴키즈존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어른과 아이가 함께 만족할 수 있는 이 카페는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윤환 / 서울석관초 2학년
“다른 곳은 못 뛰어노는데 여기는 마음껏 뛰어놀 수 있어서 좋아요.”
한 영화관에선 매주 수요일마다 아이와 엄마가 함께 영화 볼 수 있는 '맘스데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저귀 대와 수유 의자가 갖춰지고 좌석 공간도 충분해 엄마가 아이와 함께 편하게 영화를 즐길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수아 / 경기 파주시
“여행은 아기랑 같이 갈 수 있는데, 영화는 같이 못 봐서 이런 데가 있어서 너무 좋았어요.”
인터뷰> 김희수 / 아리랑시네센터 '맘스데이' 담당자
“엄마들도 아이와 함께 편하게 영화를 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맘스데이'를 진행하게 됐습니다.”
공공장소의 예절이 중요하다는 데는 공감하지만 서로 입장에 따라 의견이 엇갈리는 노키즈 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아이와 엄마와 사회구성원 모두의 배려는 서로에게 큰 힘이 됩니다.
국민리포트 이은우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