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빛고을 광주의 근대역사 자료 눈길 끌어
등록일 : 2020.06.09
미니플레이

윤현석 앵커>
빛고을 광주의 근대사를 한눈에 엿볼 수 있는 박물관이 등장 했습니다.
과거 선조들의 생활 모습과 호남 의병 관련 자료 등 다양한 역사 전시물이 선보였는데요.
그 옛날 광주읍성과 관문이 축소 재현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순미경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순미경 기자>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시 북구)
간판이 한자로 쓰여진 우체국과 극장, 낯선 거리 풍경이 관람객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합니다.
1920년대 광주 시내 중심가 모습인데요.
지금과는 사뭇 다른 모습에 어린이들이 신기해합니다.

현장음>
"(영화 화면도 흑백이었죠?) -컬러는 아닌 거 같은데 이 시대 때는..."

이곳은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원래 민속박물관이었던 이곳에 3년간 역사 공간 구축 사업을 벌여 새롭게 문을 열었는데요.
박물관 명칭을 SNS에서 시민 의견을 수렴해 정했습니다.

인터뷰> 정다정 / 광주시 남구
"광주 근대역사의 거리까지 한눈에 볼 수 있는 장소로 탈바꿈해서 아이들과 많이 배우고 가는 시간인 것 같아요."

눈길을 끄는 것은 2층에 새로 마련된 광주 근대역사실.
고려 말 왜구에 맞서 큰 전과를 거둔 정지 장군의 갑옷을 볼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예순 살에 전쟁터에 나가 의병들을 진두지휘한 고경명 장군이 직접 쓴 호소문, 광주 충장로 거리 이름의 기원이 된 충장공 김덕령 장군의 친필 편지가 보입니다.
한말 일제에 맞서 싸운 호남 의병들의 총과 당시 활약 모습을 담은 사진도 볼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광주학생운동 당시 우리 학생들이 체포돼 갇혔던 구치소 사진 자료도 보입니다.

인터뷰> 김오성 / 광주역사민속박물관장
"나라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정의를 위해 싸웠던 지역 특유의 정서를 중점적으로 부각함으로써 자라나는 어린이들, 광주시민들이 우리 지역에 대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사라져버린 옛 광주의 모습도 엿볼 수 있는데요.
조선 시대 광주읍성 모습을 대형 모형으로 사실감 있게 재현했고, 일제가 없애버린 광주의 관문 절양루 모습을 축소된 크기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조선 시대 정조 때 광주에서 치른 과거시험 합격자 명단도 볼 수 있습니다.
길이가 무려 28m나 될 정도로 합격자 이름이 빼곡히 쓰여 있습니다.
터치스크린으로 써보는 과거 시험지는 관람객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킵니다.

인터뷰> 키오마 암스트롱 / 미국 관광객
"이 공간이 좋았어요. 얼마나 많은 사람이 과거시험에 합격했는지에 대한 것과 전통적인 글자들은 보기만 해도 멋져요."

1층은 민속전시실, 넓은 평야가 만들어낸 풍요 속 남도의 들노래를 들려주는데요.
'백 리만 떨어지면 풍속이 다르다'는 옛말처럼 남도의 다양한 의식주와 수공업, 민요 등을 소개했습니다.

인터뷰> 김요한 / 초등학생
"할머니를 한번 모시고 오고 싶어서 할머니도 모시고 왔어요. 조상들이 살았던 집 안의 물건들이 되게 신기했어요."

(촬영: 임보현 국민기자)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 전시회도 열렸는데요.
당시 사진과 포스터를 보는 관람객들의 모습이 진지하기만 합니다.
박물관 측은 '생활 속 거리두기'를 위해 90분 간격으로 관람객을 받고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했는데요.
관람을 원하면 박물관 누리집이나 전화 예약을 해야 합니다.

조상들의 삶과 애환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이곳을 찾아 지난 세월 우리 역사의 숨결을 느껴보시면 어떨까요?

국민리포트 순미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