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지하철역 개인창고 '또타 스토리지' 인기
등록일 : 2021.07.16
미니플레이

김윤종 국민기자>
(상봉역 개인창고 / 서울시 중랑구)

서울 지하철 상봉역 출구 옆, 상가가 있던 자리에 창고가 들어섰습니다.
당장 사용하지 않는 물건에서 원룸 이삿짐까지.
개인 물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무인 창고인데요.
이용하는 시민들이 많습니다.

인터뷰> 양강열 / 서울시 동대문구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이나 이불 같은 것을 둘 공간이 많이 부족했어요. 그래서 창고들을, 보관할 수 있는 곳을 찾아보니까 지하철 역사 내에 물품을 장기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곳이 있더라고요. 가격도 좀 저렴한 편이고 앱으로 이용하다 보니까 편리하기도 해서 이용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일상 물건들을 맡길 수 있는 개인창고 또타스토리지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용자의 60% 정도가 주거공간이 부족한 원룸에 거주하는 1인 가구입니다.
이용 방법도 간단합니다.
전용 앱인 '또타라커'를 통해 접수와 결제, 출입까지 전부 비대면 무인 시스템으로 운영됩니다.

인터뷰> 지옥주 / 대학생
“편리하다고 생각하는 게 일단 접근성이 좋고 그다음에 잠금장치도 되어 있어서 잃어버리지도 않고 그래서 좋은 것 같아요.”

창고는 캐비닛형과 룸형 두 가지가 있는데요.
월 이용료가 각각 7만 9천 원, 13만 1천 원으로 기간 제한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6개월 이상 장기 대여자는 15%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창고 안은 항상 적절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고, CCTV도 설치돼 있어 걱정 없이 짐을 맡길 수 있습니다.
서울 지하철역 개인 창고는 지난해 답십리역, 이수역, 가락시장역 3곳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3개 지하철역의 개인 창고는 모두 50칸인데요.
한 달 만에 모두 대여될 정도로 인기를 끌자 올해 9개 역에 170개 칸을 더 만들었습니다.
주로 1인 가구의 주거 비율이 높은 지역의 역에 설치했는데요.
개인 창고는 짐을 보관할 곳이 마땅치 않은 시민들의 편의 제공은 물론 지하철 빈 상가와 공간 활용에도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인터뷰> 오찬희 / 서울교통공사 담당자
“(지하철역) 공실 상가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중에 시민들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사업을 찾다가 또타 스토리지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집에서 가까운 지하철역에 이런 짐 보관 장소가 있다 보니 접근성 측면에서 가장 좋다고 말씀해 주셨고요.”

(촬영: 박지윤 국민기자)

서울 지하철 공사는 주변에 1인 가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누구나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지하철역 개인 창고를 50곳으로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국민리포트 김윤종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