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이동약자 전용 지도, 편한 길·편의시설 한눈에
등록일 : 2021.11.02
미니플레이

김태림 앵커>
이동약자들은 외출할때 가려고 하는 곳까지 휠체어나 유아차로 접근할 수 있는지 또는
건물 내에 수유실 혹은 장애인 화장실이 있는지 등 알아둬야할 것도 궁굼한 것도 참 많은데요.
이들에게 가장 편안하고 필요한 시설을 알려주는 '이동약자 접근성 전용 지도'가 개발돼 운영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김숙이 국민기자가 소개합니다.

김숙이 국민기자>
(광화문역 / 서울시 종로구)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지하철역에서 가던 길을 멈추고 휴대폰을 검색합니다.

현장음>
"어디로 가야 하지?"
"이리로 가면 되겠다"

가려고 하는 곳은 서울역사박물관.
스마트 서울맵에서 이동약자 접근성 지도가 안내하는 길을 따라가자 큰 불편 없이 목적지에 도착합니다.
스마트 서울맵 보행 정보에는 휠체어나 유모차가 이동이 가능한지를 색으로 표시해 놓았는데요.
파란색은 이동 약자가 장애물 없이 갈 수 있는 가장 편리한 길로 안내합니다.
이동 경로뿐 아니라 건물 안 편의시설도 알려줍니다.
휠체어 장애인이 안내 데스크에 묻지 않고 건물 정보를 보고 화장실을 찾아갑니다.

인터뷰> 장은희 / 서울시 강남구
“저희는 장애인 화장실이 있나 그것부터 먼저 보게 되는데 이 지도 앱이 있으니까 누구에게 묻지 않고 금세 찾을 수 있었고 또 잘 이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서울의 한 건물에서 수유실을 찾는 아기 엄마.
휴대폰 지도를 따라 아기 쉼터로 쉽게 이동합니다.

인터뷰> 김민수 / 경기도 김포시
“수유실이 있는지 직접 찾아봐야 해서 불편했거든요. 근데 이제 접근성 지도가 있으니까 수유실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어서 너무 편했어요.”

이동약자에게는 건물에 필요한 시설이 갖춰져 있는지가 매우 중요한데요.
스마트 서울맵 건물정보는 방문자 진입 방향과 내부 공간의 형태와 구조를 알기 쉽게 담고 있습니다.
이동약자 정보 지도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데요.
인터넷이나 휴대전화로 스마트 서울맵에 도시생활지도에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동약자 접근성 정보지도 서비스는 시민들이 즐겨 찾는 174개 공공시설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요.
방문하려는 시설을 지도에서 선택하거나 건물명을 검색한 뒤 '보행로 정보'를 선택하면 인접 지하철역에서 해당 시설까지 휠체어 등으로 접근 가능한지 여부와 최단 경로는 물론 편의 시설까지 알려줍니다.

인터뷰> 이주형 /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센터 부센터장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 수집, 그다음에 이용성이 높은 지도 제작 형태로 제공하고자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지도를 제작하면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이용성이 부족하지 않았나 싶고 이러한 문제들은 앞으로 점차 개선해 나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촬영: 박지윤 국민기자)

진화하는 IT 기술과 공공 디자인이 만난 서울 스마트 맵.
서비스 대상 시설이 늘어나고 내용도 세분화돼 이동약자들의 나들이길이 더 안전해지고 더 편리해지길 기대합니다.

국민리포트 김숙이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