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정책 바로보기 (35회)
등록일 : 2022.10.31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언론 속 정책에 대한 오해부터 생활 속 궁금한 정책까지 자세히 짚어드리는 '정책 바로보기' 시간입니다.
심수현 정책캐스터 전해주시죠.

심수현 정책캐스터>
1. 국민연금 개혁 급한데···정부는 논의 시작도 못했다?
5년 마다 정부에서는 국민연금제도의 건전성과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재정 추계를 실시하는데요.
이는 현재 정부가 주요 국정 과제로 선정한 연금 개혁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밖에 없겠죠.
그런데 최근 한 언론에서는 정부가 국민연금 제도개선과 관련해 논의는 커녕 첫 단계인 재정 추계를 시작조차 못했다고 지적했는데요.
이렇게 들으면 추후 연금 개혁과 관련해 일정에 큰 차질이 생기는 건 아닌지 우려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확인해보니 우선 법적으로 재정추계 완료 시점은 2023년 3월까지였습니다.
재정추계 일정에 차질이 생겨 기한을 넘긴 게 아니라는 거죠.
뿐만 아니라 기사에서의 주장과 달리 현재 정부는 이렇게 재정추계전문위원회를 시작해 추계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보건복지부 측에서는 현재 회의를 통해 재정추계모형을 검토했으며, 이에 따라 장기재정 전망을 신속하게 내놓을 계획이라 밝혔는데요.
또한, 연금 개혁과 관련해 추계 결과를 토대로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수급연령 조정 등을 재정계산위원회와 국회 연금개혁 특위에서 논의한다는 방침입니다.

2. 한빛·한울 원전 방사능 폐기물 저장시설, 포화율 100% 초과했다?
원전 운영 과정에 발생하는 폐부품 등은 방사선 오염 정도가 비교적 낮은 중·저준위 폐기물로 분류되는데요.
최근 한 언론에서는 한빛 원전과 한울 원전의 중·저준위 방사능 폐기물 저장시설의 포화율이 100%를 초과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냈습니다.
폐기물을 더 저장할 공간이 없으면 원전 가동을 중단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이라면 심각한 문제일 텐데요.
또한 기사에서는 원전이 수명을 다해 영구정지되면 해체 작업을 거쳐야 하는데, 이때 중·저준위 해체 폐기물을 처리할 시설조차 갖추지 못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런데 확인해보니 우선 2022년 9월을 기준으로 한빛 원전과 한울 원전의 중·저준위 방폐물 저장시설 포화율은 100%를 넘지 않았는데요.
각각 이렇게 81.6%와 70.4% 였습니다.
그렇다면 왜 100% 이상이라는 수치가 나온 지 궁금하실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원전에서 발생한 폐기물은 우선 압축과 절단 과정 등을 거쳐 부피를 줄여 처분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은 폐기물을 전부 계산에 넣은 것으로 보입니다.
뿐만 아니라 중·저준위 방폐물 처리 시설이 없다는 주장 역시 사실과 다른데요.
정부에서는 2015년부터 이렇게 경주에서 중· 저준위 방폐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 스토킹 범죄,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 정당한 이유 없이 접근하거나,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글이나 영상을 전달해 상대에게 불안감을 유발하는 행위를 스토킹이라고 하죠.
2021년 10월 스토킹처벌법이 시행된 이후 1년이 지났는데요.
현재 이렇게 스토킹 범죄자는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지만 여전히 스토킹범죄는 근절되지 않고 있습니다.
만약 스토킹을 당하고 있다면 112 문자나 전화로 혹은 스마트국민제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고를 하실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스토킹을 신고한 이후 가해자에게는 어떤 조치가 취해지는지 궁금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신고 후에는 경찰이 상황에 따라 응급조치, 긴급응급조치 혹은 잠정조치를 취하는데요.
우선, 가장 기본이 되는 ‘응급조치’는 신고 이후 경찰이 즉시 현장에 나가 취하는 조치를 뜻하고요.
만약 스토킹이 반복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긴급응급 조치'를 통해 생활 장소로 부터 100m이내에 접근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전기통신을 이용한 접근도 금지됩니다.
또한 스토킹범죄가 다시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법원에서 ‘잠정조치’를 청구할 수 있는데요.
이 경우 접근금지는 물론, 유치장 또는 구치소에 유치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스토킹 가해자를 신고해서 응급조치가 취해진 뒤 여전히 불안함을 느낀다면 경찰에 신변안전조치를 신청하실 수 있는데요.
경찰서에 이미 사건을 접수해 수사가 진행 중이라면 사건 담당자에게, 진행 중인 사건이 없다면 주거지 관할 경찰서 혹은 가까운 지구대 등에 신청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정확하고 올바른 정책 정보 전해드렸습니다.

*아파트 ‘깜깜이 관리비’ 없앤다···투명·공정화 개선방안은?

최대환 앵커>
우리나라 주거문화를 살펴보면 아파트, 다세대 등 공동주택에 62.6%가 거주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동주택의 연간 관리비는 23조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동안 관리비가 적정한지에 대한 검증이 어렵다는 지적이 이어져왔습니다.
이에 정부에서는 '관리비 사각지대 해소 및 투명화 개선방안'을 내놨습니다.
자세한 내용 국토교통부 주택건설공급과 강태석 과장 연결해서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장님, 안녕하세요.

(출연: 강태석 / 국토교통부 주택건설공급과장)

최대환 앵커>
이번에 정부에서 공동주택 관리비 개선방안을 내놨는데, 그동안 어떤 문제들이 지적되어 왔던건가요?

최대환 앵커>
그렇다면 관리비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해서 이번 개선방안에 포함된 핵심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최대환 앵커>
그동안 문제 중 하나로 지적됐던 부분이 관리비리인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대책이 마련되었나요?

최대환 앵커>
네, 지금까지 관리비 개선방안과 관련해서 국토교통부 강태석 과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