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대구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70세로 올린다
등록일 : 2023.02.21
미니플레이

배유정 앵커>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는 서울시와 달리 대구시는 앞서 나가고 있는데요.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을 65세에서 70세로 올리겠다는 겁니다.
시민들의 의견을 홍승철 국민기자가 들어봤습니다.

홍승철 국민기자>
(대구시 수성구)
평일 오후 대구의 지하철입니다.
발 디딜 틈 없는 출퇴근 시간대와는 달리 빈 좌석이 많은데요.
승객의 절반 이상이 어르신입니다.

인터뷰> 장국란 / 대구시 수성구
"아침 출퇴근하는 바쁜 시간에 안 타고요. 낮시간 조용할 때 한 번씩 타거든요."

대구 지하철은 1997년 1호선을 시작으로 2005년 2호선에 이어 2015년 개통된 모노레일 형식의 3호선이 각각 운영되고 있는데요.
대구시가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을 만 65세 이상에서 70세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홍승철 국민기자
"대구시는 지하철 무상이용 65세 이상 기준을 올해는 그대로 유지하되 내년부터 매년 한 살씩 적용 연령을 올리는 한편 버스는 올해 75세를 시작으로 해마다 한 살씩 내림으로써 2028년에는 지하철과 버스 무상 이용을 70세 이상으로 동시에 맞춘다는 계획입니다."

지자체 차원에서 연령 기준을 상향 조정한 것은 대구시가 처음인데, 연차적이긴 하지만 지하철 무임승차를 만 70세 이상으로 올리는 정책에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립니다.

인터뷰> 지진희 / 대구시 남구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65세 이상 어르신들이 생활력을 갖춘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인터뷰> 이동형 / 경북 구미시
"하루 벌어서 먹고살아 가는 분들이 지하철 돈을 내게 되면 더 힘들 것 같아서..."

인터뷰> 최윤혁 / 대구시 수성구
“갈수록 노령 인구가 늘어날 텐데 65세는 아직 고령이라고 할 수 없어서 무임승차는 아닌 것 같습니다.”

인터뷰> 김정옥 / 대구시 동구
“70세 정도는 되어야 지하철을 무료로 타도록 해야지요. 국가적으로도 그렇고 지자체도 손해가 많다고 하던데...”

대구의 교통수송분담률은 버스가 17%로 지하철 8%보다 2배 이상 높은데요.
지하철 무임승차 나이를 70세로 올리는 대신 만 70세 이상 버스 무임승차는 오는 7월부터 도입합니다.

인터뷰> 정연수 / 대구시 동구
"그래서 버스비가 만만찮은데, 지하철도 70세부터 공짜라면 버스비도 그때부터는 무료로 해주는 게 맞다고 보는데요."

지난해 대구 지하철의 적자는 1,868억 원. 이중 무임승차에 따른 것이 521억 원에 달합니다.
2022년 말 현재 대구시의 65세 이상 인구는 56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4%에 달하고 70세 이상이 41만 명으로 17%를 차지할 정도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무임승차에 따른 지하철 적자는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터뷰> 황순조 / 대구시 기획조정실장
“어르신들에 대한 무임 교통 서비스 제도를 전국 최초로 실시할 예정입니다.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감안할 때 무임승차 서비스 기준은 70세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무임승차 65세 유지나 상향을 놓고 주민들의 반응이 엇갈리는 가운데 대구시의 무임승차 연령 상향이 다른 지자체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주목됩니다.

국민리포트 홍승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