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국내 넘어 해외로, 종묘제례악 알린다
등록일 : 2023.04.28
미니플레이
김기은 앵커>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제례를 올릴 때 연주하는 종묘제례악은 인류무형 문화유산으로 등재돼 있는데요.
종묘제례악이 첫 전국 순회공연을 펼쳤습니다.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이정민 국민기자>
(세종예술의전당 / 세종시 나성동)
조선시대 왕실의 음악과 노래, 무용을 하나로 엮은 종묘제례악이 무대에 올려 퍼집니다.
화려한 의식과 품격이 있는 선율이 관객들의 시선을 빼앗습니다.

현장음>
"사극을 많이 보신 분들은 익숙한 대사죠 전하, 종묘사직을 보존하시옵소서."

종묘의 모습과 제례의 절차는 물론, 한자 표기에 담긴 의미가 곁들어진 해설은 무겁고 낯설게 느껴지는 종묘제례악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인터뷰> 이서린 / 대학생
"사실 국악이라는 게 대중화가 되지 않았잖아요. 저는 그렇게 생각하는데 종묘제례악 공연을 통해서 더 많은 국민들에게 저희 K-국악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첫 공연을 마치고 다음 무대를 준비하는 단원들.

현장음>
"자, 하겠습니다~"

혼신의 힘을 다하는 이들은 마치 관중 앞에 선 것처럼 연주에 열중합니다.
국립국악원 단원들은 지난 3월 세종시 공연에 이어 9월까지 서울과 대전, 울산, 대구 등 5개 도시에서 종묘제례악을 펼치는데요.
그동안 종묘가 있는 서울에서 주로 연주하던 전막 공연으로 지역을 도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인터뷰> 김영운 / 국립국악원장
"사실 지방에서는 이 종묘제례악을 보실 기회도 없었고, 실제 종묘제례 현장을 방문할 기회도 많지는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을 우리 국민 모두 깊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지역별로 중요한 도시들을 방문해서 순회 연주를 갖도록 기획했습니다."

공연과 함께 종묘제례악을 알리기 위해 이벤트로 펼쳐집니다.

현장음>
"로봇이 이거 입으니까 귀엽다."
"로봇 공연 한다잖아~"

공연장 로비에서는 붉은색 예복을 차려입은 로봇 단원들이 공연을 안내하며 관객들에게 다가갑니다.

이정민 국민기자
"특히 이번 순회공연은 공연 중간에 해설과 진행이 곁들여지는데요. 따라서 관객들은 종묘제례악을 보다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습니다."

연주단 인원만 총 70여 명에 이르는 국립국악원의 종묘제례악은 해외에서도 큰 호응을 얻고 있는데요.
지난 2000년 일본과 2015년 파리 지난해 독일의 4개 도시 순회공연에 이어 오는 9월쯤 헝가리, 폴란드 등 유럽으로 무대를 옮겨 우리의 국악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인터뷰> 이건회 / 국립국악원 정악단 예술감독 대행
"베를린 필하모닉 극장에서 공연을 했는데요. 실제로 제가 박을 들고 갔을 때는 많은 사람, 한 2천 명 가까이 되는 것 같아요. 꽉 찬 관객들의 박수 그리고 10여 분 이상 앵콜과 커튼콜을 했던 좋은 기억이 있는 공연이었습니다."

(취재: 이정민 국민기자 / 촬영: 정민수 국민기자)

세계문화유산인 종묘제례악의 국내와 해외 순회공연이 우리 음악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국악 한류 바람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길 기대합니다.

국민리포트 이정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