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정책 바로보기 (196회)
등록일 : 2023.06.29 09:11
미니플레이
심수현 정책캐스터>
언론 속 정책에 대한 오해부터 생활 속 궁금한 정책까지 자세히 짚어드립니다.
정책 바로보기, 심수현입니다.

1. 식품 방사능 기준, 어떤 근거로 설정되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우리 국민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바로 먹거리 안전이겠죠.
안심하고 음식을 먹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정부에서 엄격하게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고, 체계적으로 이를 공개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겠죠.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국제 규격보다 이렇게 10배나 엄격한 kg 당 100Bq 이하라는 방사능 검사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Bq이라는 단위 자체가 생소한 단위인 만큼 여전히 100Bq이라 말해도 안전한 건지 아닌지, 감이 잡히지 않는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해당 규격은 어떻게 설정된 규격일까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설명에 따르면, 국제적으로 이 기준은 식품을 통한 방사선 노출량이 최대 안전기준인 1 mSv(밀리시버트)를 넘지 않도록 설정되는데요.
여기서 mSv는 인체가 받는 방사선영향을 표시하는 단위로 방사능의 세기를 표시하는 단위인 Bq과는 다른 단위입니다.
일본의 히로시마 원폭 생존자가 1주에서 2주 사이의 단기간에 방사선을 100mSv(밀리시버트) 이상 받았을 때 암 등의 발병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에 착안해 국제 기준이 만들어졌는데요.
보수적으로 일평생 동안 암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사선을 100mSv(밀리시버트) 로 설정하고, 이를 다시 연간 단위로 쪼개 1mSv(밀리시버트)로 환산한 겁니다.
그리고 이를 식품 섭취량과 연관시켜, 식품 kg 당 방사능 수치 기준을 정하게 되는 거죠.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방사능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지금의 kg 당 100 Bq 이하라는 엄격한 기준이 도입됐습니다.
1kg 당 100Bq의 방사성 세슘에 오염된 고등어를 매일 한마리 정도 먹는다면, 연간 섭취하는 방사선량은 약 0.1mSv로 연간 권고치의 10분의 1 정도인데요.
이런 점을 고려하면, 지금의 100Bq이라는 수치는 충분히 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해줄 수 있을 걸로 사료됩니다.

2. '헌혈 피' 관리 부실로 폐기됐다? 오해와 진실은
혈액수급 안정화를 위해서는 지역별로 헌혈 문화를 확산시키는 게 중요할 텐데요.
최근 한 언론에서는 지난해 말 제주의 한 혈액원에서 헌혈행사와 관련한 보도를 냈습니다.
헌혈 피의 이송이 지연된 탓에 일부 물량이 폐기됐다는 겁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가 혈액관리감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는데요.
그런데 확인해보니 우선 이송지연으로 혈액이 폐기됐다는 건 사실이 아니었습니다.
헌혈된 혈액은 매독이나 용혈 등의 부적격 사유는 없는지 선별검사를 받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부적격 판정을 받아 폐기된 것이었습니다.
그러니까 혈액 제조기간을 지키지 못했거나 관리에 허술함이 있었다고 볼 수는 없는거죠.
한편 혈액원에서는 혈액관리법에 입각해 채혈부터 품질관리까지의 업무를 수행하는데요.
이후 보건복지부에 매년 부적격혈액 처리현황을 보고하는 등 혈액관리업무 전반에 대해 정기적으로 보고합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혹시나 채혈한 혈액의 관리감독 시스템이 허술해 어쩌면 생명을 살릴 수 있었을 피가 낭비되고 있는 건 아닌지 너무 우려하지는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3. 북한해킹메일 걸러내기 위해서는 '이것' 확인하세요
지난해 정치계와 언론계를 중심으로 대량 유포된 피싱 메일이 북한의 해킹 조직인 ‘김수키’의 소행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이러한 피싱 범죄에 대한 경각심은 더 높아지고 있는데요.
설령 해킹 이후에 눈에 띄는 금전적인 피해는 없었더라도, 탈취한 개인정보는 무궁무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만큼 자칫하면 우리나라 전체에 큰 안보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겠죠.
오늘은 북한해킹메일을 비롯해 일반적인 해킹메일에도 적용되는 주의 사항들 짚어봅니다.
우선 발신자 이름은 스스로 설정이 가능한 만큼 “네이버”나 “관리자” 같은 형태의 이름으로 메일이 올 수 있는데요.
하지만 이렇게 정상메일과 해킹메일은 아이콘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셔야 합니다.
물론 발신 메일 주소도 미묘하게 다른데요.
그렇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첫 번째 수칙, 바로 발신자 정보 확인입니다.
두 번째로는 인터넷주소를 조심하셔야 하는데요.
정보성 메일인줄 알고 클릭했던 링크가 악성 사이트로 연결돼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악성 사이트는 주로 이렇게 로그인 화면을 띄우는데, 이 때 주소와 좌물쇠 마크를 다시 한번 확인하셔야 합니다.
이 외에도 포털사이트나 메신저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2단계 인증과 같은 보안설정도 해킹 방지에 도움이 되니까요.
이런 점들 잘 기억하셔서 개인정보보호에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정확하고 올바른 정책 정보 전해드렸습니다.

* 28일부터 만 나이 통일, 무엇이 바뀌나?

김용민 앵커>
오늘부터 (6월 28일) 우리의 나이가 '만 나이'로 본격 통일됩니다.
과연 무엇이 달라지는 건지 여전히 궁금하시고 헷갈리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
법제처 방극봉 법제정책국장 연결해서 '만 나이'를 둘러싼 궁금증들 하나하나 짚어보겠습니다.
국장님, 안녕하세요.

(출연: 방극봉 / 법제처 법제정책국장)

김용민 앵커>
본격적인 얘기에 앞서 '만 나이' 통일이 무엇인지, '만 나이'로 통일되면 정확히 어떤 것들이 바뀌게 되는 건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만 나이'가 적용되지 않는 '예외'도 있다고 하던데, 어떤 경우에 그런 건가요?

김용민 앵커>
정년 퇴직 시기와 선거권 획득 시기는 그대로인지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도 재발급 받아야 하는 건 아닌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이같은 경우에는 달라지는 부분들이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오늘부터 시작되는 '만 나이' 통일을 계기로 우리의 삶이 더 나아질 수 있을지 기대가 되는데요.
관련해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네, 지금까지 '만 나이 통일'과 관련해서 법제처 방극봉 국장과 자세히 짚어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