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저성장·기후 변화 극복 '바이오 경제 2.0' 추진 [정책인터뷰]
등록일 : 2023.08.07 21:18
미니플레이
김은정 앵커>
전 세계적인 저성장과 기후변화 문제로 바이오 경제육성이 중요한 국가적 과제로 올랐는데요.
정부는 기존 의약품 중심의 '바이오 경제 1.0'을 넘어 바이오 신산업 육성을 뜻하는 새로운 '바이오 경제 2.0 ' 정책을 추진합니다.
정책인터뷰, 정수연 국민기자가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를 만나 알아봤습니다.

(출연: 송영진 /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융합산업과 과장)

◇ 정수연 국민기자>
'바이오 경제 2.0' 추진 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를 찾았습니다. 바이오융합산업과 송영진 과장님이 자리에 함께하셨는데요.
안녕하세요.

◆ 송영진 과장>
안녕하세요.

◇ 정수연 국민기자>
요즘 전 세계적으로 저성장과 기후 변화 문제가 심각한 상황인데요.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바이오 경제 2.0'을 추진하게 된 배경이 궁금합니다.

◆ 송영진 과장>
바이오 경제는 전 세계적으로 연간 10% 이상 고성장이 예상되는 유망 분야입니다. 또 방금 말씀하신 것처럼 기후 위기나 감염병, 고령화,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솔루션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EU, 일본과 같은 우리 경쟁국들이 바이오 경제 선점을 위해서 나서고 있기 때문에 우리도 본격적으로 바이오 경제를 추진해야 될 그런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 정수연 국민기자>
바이오 경제가 정확히 어떤 걸 말하는지도 궁금해지는데요. 간략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 송영진 과장>
바이오 자원에 기반한 공정이나 제품 서비스를 활용해서 경제 사회 전반에 발전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실현하는 그런 경제 메커니즘을 말하고요. 간단하게 설명 드리면 석유와 같은 화학 자원 기반의 경제에서 바이오 자원에 기반한 경제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 정수연 국민기자>
설명을 듣고 보니까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좋은 방안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목표를 가지고 추진될 예정인가요?

◆ 송영진 과장>
2030년까지 바이오 분야의 생산을 연간 100조 원까지 늘리고 또 수출도 500억 불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화석 자원 기반의 산업구조를 바이오 자원 기반의 지속 가능한 산업구조로 전환해 나가는 것이 목표입니다.

◇ 정수연 국민기자>
네, 목표 달성을 위해서 여러 가지 고려해야 할 점들도 많을 것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이라고 하면 어떤 걸 꼽을 수 있을까요?

◆ 송영진 과장>
2030년까지 15.7조 원 규모의 민간 투자가 계획되어 있는데, 저희가 차질 없이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세제 지원이나 부지 전략과 같은 인프라 등 이런 것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고요. 더불어서 원부자재의 국산화가 중요한데 원부자재 국산화율을 2030년까지 15% 수준까지 저희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 정수연 국민기자>
기후 위기가 심각한 만큼 환경에 해롭지 않은 친환경 소재나 에너지 개발도 중요할 텐데요. 이를 위한 계획도 마련돼 있나요?

◆ 송영진 과장>
다양한 친환경 바이오 신소재 개발도 지원하고, 또 청정 바이오 에너지 상용화도 지원할 계획입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나 바이오 기반 섬유와 같은 바이오 신소재 개발을 지원하고, 또 아울러서 바이오 항공류, 바이오 선박류 등과 같은 바이오 연료에 대한 실증, 또 관련 제도 개선도 저희가 추진할 계획입니다.

◇ 정수연 국민기자>
빠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시대에 발맞춘 발전 방안도 추진될 예정이죠?

◆ 송영진 과장>
바이오 데이터의 원활한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서 저희가 관계 부처와 함께 100만 명 규모의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도 추진할 계획이고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대규모 실증도 지원해서 2030년까지 새로운 서비스 50건 이상 저희가 실용화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 바이오 기술과 반도체라든가 디스플레이, 나노 등과 같은 다른 분야와의 접목도 계속 꾸준히 지원해서 새로운 기술 융합형 제품의 개발도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입니다.

◇ 정수연 국민기자>
이렇게 지금까지 소개해 주신 방안들이 잘 추진이 되면 좋을 것 같은데요. 미래 발전에 중요한 바이오 경제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이 있다면 소개해 주시죠.

◆ 송영진 과장>
바이오 제조 초격차 확보에 필수적인 핵심 인재 양성도 저희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우리 기업들이 해외시장 개척을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무역 금융이라든가 해외 인증 수출 마케팅, 이러한 것들도 관련 기관과 함께 저희가 적극 지원해 나가겠습니다.

◇ 정수연 국민기자>
네, 바이오 인재 양성과 수출 기반을 튼튼히 하면 바이오 경제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겠군요. 마지막으로 바이오 경제가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중점 육성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한 말씀해 주시죠.

◆ 송영진 과장>
바이오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이라고 말씀을 많이 하십니다. 그만큼 바이오산업이 우리나라 미래의 먹거리로서 중요하다는 의미라고 생각이 됩니다. 우리 경제가 최근 글로벌 경기 침체를 뚫고 또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기 위해서는 바이오 경제 육성이 필수적이라고 하겠습니다.

◇ 정수연 국민기자>
네, 새롭게 추진되는 바이오 경제 2.0 정책이 우리 미래 산업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하길 기대해 보겠습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송영진 과장>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