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지역 박물관 함께하는 '석탄시대' 특별전
등록일 : 2024.05.20 21:14
미니플레이
배은지 앵커>
대한민국 산업 성장의 동력이자 연료로 국민들과 함께했던 석탄의 역사를 돌아보는 특별전이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석탄시대 특별전은 탄광 지역의 석탄박물관과 함께 준비한 건데요.
그 현장에 김제건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현장음>
"하늘 바람 먼저 와 스치고 가는 태백산 골짜기 우리 마을, 아버지가 집에 오실 때는 시커먼 탄가루로 화장을 하고 오신다. 이 연탄은 아버지가 캐신 거나 마찬가지니까 한 장도 깨트리지 말자."

김제건 국민기자>
1980년대 탄광마을의 어린이들이 쓴 일기들이 가슴을 뭉클하게 합니다.
캐낸 석탄이 산처럼 쌓여있고 산자락에 아파트 사택이 들어서고 마을의 초등학교엔 아이들로 북적입니다.
석탄산업이 아주 번창했던 시절 탄광 지역의 모습입니다.

인터뷰> 이효린 / 서울시 양천구
"저희가 연탄을 잘 모르는 세대인데 석탄으로 연탄이 만들어지니까 광부분들은 석탄 캐느라 고생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래서 이 전시회가 특별하게 느껴졌어요."

인터뷰> 김진일 / 경기도 화성시
"연탄 갈았던 세대인데 이렇게 전시회를 보게 되어서 정말 석탄의 귀중함을 알게 됐습니다."

막장에서 도시락을 함께 나누는 시간.
얼굴은 석탄을 뒤집어썼지만 그래도 잠시 쉴 수 있는 그 시간이 행복해 보입니다.
주로 남성들이 작업으로 하던 갱안에서 선탄부라 불리던 여성 광원들의 모습이 눈길을 끕니다.

인터뷰> 이도원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석탄의 현대사를 돌아보며 깊은 탄광 속 생생한 현장을 재현해 냈습니다. 이번 전시는 탄광마을 사람들의 생활상도 살펴보면서 전시 마지막에 연탄 비누 만들기 체험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안전'을 외치지만 광원들은 언제 무너져 내릴지 모를 위험에 놓여있었습니다.
하루가 멀다 하고 들려오는 매몰 사고.
일주일이 지나서 구조된 그들의 얼굴에선 삶의 기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굴속을 지탱하는 굵고 무거운 나무들을 등에 지고 막장을 건설해 가면서 손으로 탄을 캐던 광부들.
연탄도 손으로 한 장 씩 찍어내며 직접 만들었습니다.
세월이 흐르며 기계가 채탄을 하고, 연탄도 생산하는 시대가 됐습니다.

인터뷰> 존슨 로 / 재미 중국인 관광객
"매우 힘들며 위험한 직업이지만, 나라와 가족을 위해 일한 분들에게 새삼 고맙다고 느낍니다."

인터뷰> 알렉시 베레진 / 러시아 관광객
"러시아와 중국에서도 매우 귀하겠지만 광부들이 살아가기 위하여 고생해서 캔 석탄을 나눈다는 것은 중요한 일이겠죠."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서울시 종로구)

고생대인 3억 6천만 년 전부터 인류와 함께했고, 18세기 인류 산업혁명의 바탕이 됐던 석탄에 관한 특별전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우리나라 석탄산업의 중심에 있는 태백 문경 보령의 석탄박물관과 함께 마련했습니다.

인터뷰> 한수 / 대한민국역사박물관장
"우리에게 익숙했던 석탄은 올해와 내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국내에서는 채탄 활동이 끝납니다. 그러니까 석탄시대는 저무는 거죠. 기우는 시대를 기념하고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것들을 보여드리기 위해서 이 전시를 기획했습니다."

(취재: 김제건 국민기자)

증기기관차로, 석탄 화력발전소의 원료로, 그리고 산업역군 파독 광원 이야기까지 석탄 시대의 모든 것을 담은 특별전은 오는 9월 22일까지 열립니다.

국민리포트 김제건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