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 '예방접종' 권고 [정책인터뷰]
등록일 : 2024.08.05 12:47
미니플레이
서민희 앵커>
한여름의 불청객이죠.
바로 일본 뇌염을 옮기는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 모기'인데요.
정부가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고 모기에 물리지 않는 한편, 예방 수칙을 잘 지켜줄 것을 바라고 있습니다.
정책인터뷰, 이채원 국민기자가 질병관리청 관계자를 만나 알아봤습니다.

(출연: 김종희 / 질병관리청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과장)

◇ 이채원 국민기자>
한여름인 요즘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데요. 일본뇌염에 대비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질병관리청에 나와 있습니다. 김종희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장님이 자리 함께하셨습니다. 안녕하세요.

◆ 김종희 과장>
안녕하세요.

◇ 이채원 국민기자>
지난달 말이죠. 7월 25일 자로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됐는데요. 일본뇌염 경보를 내리는 기준과 함께 올해는 어떻게 해서 발령하게 됐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 김종희 과장>
일본뇌염 경보 발령 기준은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 밀도가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일 때, 두 번째는 첫 채집된 모기로부터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분리되거나 유전자가 검출될 때, 세 번째는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한 경우인데요. 올해의 경우는 경남과 전남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체계 운영 결과 밀도가 50% 이상으로 확인되어서 경보를 발령하게 되었습니다.

◇ 이채원 국민기자>
그렇다면 올해 발령된 일본뇌염 경보와 최근 몇 년 사이에 발령된 경보를 비교하면 어떤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 김종희 과장>
최근 3년간 일본뇌염 경보 발령일은 7월 20일을 전후로 해서 큰 차이는 없지만, 올해 매개모기 개체수가 평년대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이채원 국민기자>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어떤 모기인지, 그리고 다른 모기와는 어떻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 김종희 과장>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작은 소형모기입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서식하고 발생하고 있으며,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경보 발령 이후에는 주로 8~9월에 매개모기 밀도가 가장 높고요. 10월 말까지 활동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이채원 국민기자>
네, 8월~9월 사이에 매개모기 밀도가 정점에 이른다고 하니 당장 지금부터 주의해야겠네요.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 김종희 과장>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초기에는 발열이나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 드물게는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요. 이 중에 20~30%는 사망하실 수도 있습니다. 특히 뇌염으로 진행이 될 때는 증상이 회복되어도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이채원 국민기자>
일본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가볍게 생각하면 안 되겠네요. 그동안 국내 일본뇌염 환자 실태는 어떤지 그리고 어떤 특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김종희 과장>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매년 20명 내외로 발생하고 있고 대부분 8~9월에 첫 환자가 신고 되고 11월까지 발생합니다. 최근 5년간 신고된 환자의 특성을 볼 때 50대 이상 연령대에서 88% 정도가 발생하고, 지역별로는 경기, 서울, 강원 순으로 발생하였습니다. 전체 환자의 74%에서 인지장애, 운동장애, 마비, 언어장애 등 합병증이 확인되었습니다.

◇ 이채원 국민기자>
일본뇌염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겠는데요. 어떻게 대비하는 게 좋을까요?

◆ 김종희 과장>
일본뇌염은 모기매개 감염병이고, 다른 모기매개 감염병과 비슷한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첫 번째,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요. 야외활동 시에는 밝은색의 긴 옷과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고, 외출 시에는 모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피부나 옷에 모기기피제를 사용합니다. 또 나가실 때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고요.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이 찢어진 곳이 있는지 정비하고 캠핑, 낚시 등의 야외 활동 시에는 취침할 때 모기장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백신이 있습니다. 그래서 어린이와 같이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인 경우는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 이채원 국민기자>
일본뇌염에 효과적인 백신이 있어서 그나마 다행이네요. 그렇다면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의 경우는 어떻게 대비하면 될까요?

◆ 김종희 과장>
논, 돼지 축사 인근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전파 시기에 위험 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해서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일본뇌염 위험 국가 여행자는 유료로 예방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이채원 국민기자>
네, 말씀하신 경우의 성인에 해당하는 분들은 꼭 예방접종을 하셨으면 합니다. 그런데 요즘 해외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상당히 많은데요. 일본뇌염 위험국가로 분류된 국가가 꽤 많다면서요?

◆ 김종희 과장>
동남아시아 및 서태평양 국가에서 일본뇌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나라들로는 방글라데시, 인도, 네팔,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중국, 일본, 대만, 호주 등 약 25개국에 해당되고 있습니다.

◇ 이채원 국민기자>
끝으로, 당부하고 싶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 김종희 과장>
여름철에는 매개모기 개체수도 많고, 사람들의 야외 활동이 많아서 매개모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데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해주시기 바라고,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 일정에 맞춰서 접종해 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

◇ 이채원 국민기자>
네, 일본뇌염 예방수칙을 잘 지켜서 우리 국민 모두 건강한 여름을 보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김종희 과장>
네,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