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동물과 함께하는 행복 '반려동물 안심학교'
등록일 : 2024.08.22 13:28
미니플레이
서민희 앵커>
현재 서울시민 네 명 중 한 명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지만 올바른 반려문화는 아직 갈 길이 먼데요.
서울에서 발생하는 유기견이 해마다 만 마리가 넘을 정도로 많기 때문입니다.
서울시가 유기견을 줄이고 동물과 함께 행복해질 수 있도록 '반려동물 안심학교'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이여진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이여진 국민기자>
(장소: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 동대문 / 서울시 동대문구)

지난해 동대문 근처에 문을 연 3층 규모의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
동물 병원을 비롯해 유기동물 보호와 입양실, 교육장 등을 갖췄는데요.
이곳에서 보호받고 있는 강아지들이 취재진을 반깁니다.

현장음>
"어디서 왔니, 거기 편해? 아이고 예뻐~"
"재미있었어, 좋았어?"

이들 강아지는 키우던 사람에게 버림을 받은 친구들, 잘 먹고 마음껏 뛰놀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줘서 그런지 다들 밝아보입니다.

인터뷰> 한지선 /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 동대문 주무관
"여기 있는 강아지들은 대부분 유기견, 유실되거나 아니면 보호자가 부득이한 경우에 의해 사육을 포기하거나 또는 학대를 당하고 들어온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유기견들이 좋은 곳으로 입양될 수 있도록 인터넷 카페에서 관리도 하는데요.
동물과 사람이 함께 행복해질 수 있는 공간입니다.

현장음>
"여기서 '입양하기'를 클릭하시면 이렇게 새로운 가족을 기다리는 강아지들이 있습니다."

자원봉사자들이 매일 강아지에게 간식을 주는 등 다양한 봉사 활동을 하면서 돌봐주기도 합니다.

인터뷰> 한지선 /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 동대문 주무관
"하루에 10명 정도 자원봉사자가 방문을 하세요. 그분들은 활동별로 산책·미용·유기동물 프로필, 촬영 봉사 등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어요."

이곳만의 교육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바로 '반려동물 안심학교'입니다.

현장음>
"여러분들에게 동물 보호에 관한 교육을 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교육 강사는 유기 동물이 입양될 때까지 이곳에서 치료하고 돌보는 수의사와 동물 훈련사들!

인터뷰> 김근영 / 수의사
"유기동물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많이 바뀌고 있잖아요. 그런 것을 가속화시키기 위해서 보호자나 일반 시민에게 교육을 통해 더 도움이 되고 싶고..."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동물보호 교육 프로그램 시간.
강아지와 인사하고 싶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지도하고,

현장음>
"팔짱을 낄 거예요, 우리... 다 했으면 강아지 눈을 마주치지 않기 위해 고개를 (돌리고)..."

강아지의 행동 언어가 무슨 의미인지 알려주기도 합니다.

현장음>
"배를 보이는 것은 무슨 뜻이라고요? 맞아요, 강아지가 사람에게 배를 보여주면 믿고 신뢰한다는 뜻이에요."

강아지에게 손을 내밀며 교감하는 방법도 배웁니다.
이번에는 강아지들이 좋은 주인을 만날 수 있도록 입양 포스터를 만들어보는 시간.
한 어린이는 '카누를 소개합니다'라는 제목에 "활발해요, 호기심 많아요" 등의 글을 써넣었습니다.
또 다른 어린이는' 뚜비를 소개합니다'라는 제목에 "겁이 없어요, 착해요" 라고 썼습니다.
그림도 다들 멋있게 그렸는데요.
자신이 꾸민 입양 포스터를 소개하는 시간도 갖습니다.

현장음>
"호기심이 많고 자신감도 넘쳤어요."
"맞아요, 카누는 활발하고 자신감이 넘치는 성격이었죠."

인터뷰> 손서희 / 서울 홍파초 4학년
"인사받기 싫을 때 무시하는 방법과 그런 것에 대해 알고, 입양 포스터도 만들며 무언가를 많이 해봐서 기분이 좋아요."

인터뷰> 최은지 / 서울 홍파초 4학년
"강아지 행동 언어를 알게 되어서 기뻤던 것 같아요."

잊힐만하면 생기는 개물림 사고 예방법도 가르치는 반려동물 안심학교, 어린이부터 직장인, 일반인까지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데요.
이 밖에도 미래반려인 예비교육이나 입양동물 보호자 보수교육 등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면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됩니다.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는 이곳 말고도 마포구와 구로구까지 모두 세 곳.
마포구 센터는 반려동물 시민학교를 운영하고, 구로구 센터는 동물 행동 교정 프로그램이라는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각각 프로그램을 차별화해 운영합니다.

(촬영: 이정임 국민기자)

이여진 국민기자
"반려견 문제행동에 집중됐던 교육을 다양화해 시민 모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확대한 반려동물 안심학교.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해지는 의미 있는 교육에 더 많은 사람의 관심과 참여가 이어지길 기대해 봅니다."

국민리포트 이여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