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하얼빈 의거 영웅, 안중근 '유묵' 관람 줄이어
등록일 : 2024.12.10 12:33
미니플레이
권나현 앵커>
하얼빈 의거의 영웅 '안중근 의사'가 남긴 '유묵', 혹시 본 적 있으신가요?
한국과 일본에 남아있는 육필 18점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렸습니다.
연일 관람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나라 사랑 정신을 엿볼 수 있는 안중근 의사의 '유묵' 모습을 김윤주 국민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김윤주 국민기자>
일제에 나라를 빼앗기기 1년 전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 중국 뤼순 감옥에 투옥됐을 당시 어렸을 적 이름인 '안응칠'이라는 수형표를 달고 있는 모습입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서울시 종로구)

하얼빈 의거 115주년을 맞아 안중근 의사의 유묵 18점을 선보인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전시장으로 들어서자 마치 서예 작품을 모아놓은 듯합니다.

전화 인터뷰> 유정환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이번 전시는 조국 독립과 동양의 평화를 꿈꾸고 생을 바쳐 이를 이루고자 하였던 안중근 의사의 생애를 안 의사가 남긴 글씨로써 (유묵을) 알리고자 준비했습니다."

안 의사의 가풍과 신앙 등 그의 정체성을 담은 유묵 5점, 높이가 1.5m나 되는 긴 족자 형태로 쓴 글씨가 눈길을 끄는데요.
'황금백만냥 불여일교자' 즉, '황금이 백만 냥이라도 자식에게 하나를 가르침만 못하다'는 뜻으로 삶의 철학을 엿볼 수 있습니다.
'천당지복 영원지락', 천주교 신자였던 그의 깊은 신앙심을 보여주는 유묵도 있습니다.
보시는 유묵은 애국계몽운동과 의병활동 중에 쓴 것인데요.
나라에 대한 걱정스러운 마음을 드러낸 '국가안위 노심초사'.
군인으로서의 마음가짐을 보여주는 '위국헌신 군인본분' 등 높은 기개가 느껴지는 유묵입니다.

인터뷰> 조찬경 / 경기도 고양시
"직접 친필로 많은 글씨를 작성하시면서 독립운동 의지를 불태우셨다는 것을 알게 되어 감명 깊었습니다."

'독립'이라고 쓴 대형 유묵이 시선을 사로잡는데요.
크기가 가로 3m, 세로 4.5m나 됩니다.
독립투쟁에 대한 강한 신념으로 왼손 넷째 손가락 한 마디를 절단한 손도장이 찍혀 있어 가슴을 뭉클하게 합니다.
나라를 되찾겠다는 간절한 염원과 굳은 의지가 담겨있는데요.
안 의사가 감옥에서 써서 일본인 간수에게 전했고, 그 뒤 일본에 남아있다 이번에 공수해 온 것으로 15년 만에 국내에서 다시 전시됐습니다.
동양 평화를 위해 노력한 안 의사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유묵 넉 점도 볼 수 있습니다.
보시는 글씨는 '지사인인 살신성인' 즉, 스스로를 희생하더라도 큰 뜻을 이루겠다는 결연한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관람객이 연일 줄을 잇고 있는데요.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이장훈 / 재미교포
"안중근 의사에 대해 잘 알 수 있었던 전시였습니다. 재외동포로서 조상들이 자유를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알 수 있었고 우리 조상에 대한 자부심이 느껴졌습니다."

뛰어난 서예가의 면모를 보인 안 의사의 유묵 18점은 모두 보물로 지정돼 있는데요.
명필로 불리는 한석봉의 넉 점, 추사 김정희의 열두 점보다 보물로 지정된 것이 훨씬 많습니다.

인터뷰> 백창현 / 서울시 종로구
"정말 반갑고 실제로 보는 것은 몇 점 없었는데 다 모아서 보니까 아주 뜻있는 전시였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독립운동 당시 안 의사 사진을 비롯해, 지난 1962년 안 의사를 추서한 훈장 등 50여 점의 자료도 함께 전시됐습니다.
안 의사 유묵과 필적 체험도 진행 다양한 체험 형식의 전시도 진행됐는데요.
'독립'이라고 쓴 유묵을 재현한 작품을 직접 만져볼 수도 있고, 관람객이 자신의 이름을 입력하면 안 의사의 필적으로 쓴 엽서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안중근 의사가 순국할 때 나이는 서른한 살, 나라를 위해 젊음을 바친 숭고한 희생정신은 가슴 절절한 유묵으로 영원히 남아 있는데요.
내년 3월까지 계속되는 이번 전시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

(촬영: 최미숙 국민기자)

김윤주 국민기자
"115년 전 하얼빈 의거의 영웅 안중근 의사의 유묵, 나라 사랑 정신을 엿볼 수 있는 독립운동가의 명필을 감상해 보는 뜻깊은 시간을 가져보시면 어떨까요?"

국민리포트 김윤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