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새해 맞아 나의 뿌리 '족보'에 관심 커져
등록일 : 2025.01.24 12:54
미니플레이
최다혜 앵커>
이번 설 명절 온 가족이 모여 조상에 대한 이야기꽃을 피우실 텐데요.
새해를 맞아 나의 뿌리를 알아보는 '족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대전에 있는 족보박물관에서 족보 관련 체험을 즐길 수 있는데요.
박혜란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박혜란 국민기자>
우리나라 성씨는 모두 5천 5백여 개, 조상의 뿌리를 기록한 족보에 대해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봤습니다.

인터뷰> 길유진 / 대전시 중구
"누군가 태어났고, 그 사람 아래로 또 누가 태어나서 그 구성원을 적어 놓은 기록이라고 해야 되나..."

인터뷰> 이동혁 / 대전시 유성구
"조상들을 한번 되돌아볼 수 있고, 내가 어디에 (뿌리가) 있는지 또 다시 생각해 보는..."

(뿌리공원 / 대전시 중구)
이곳은 성씨를 주제로 한 공원으로는 전국에서 유일한 뿌리공원.
새해를 맞아 찾아온 관람객은 성씨 조형물을 보며 새삼 자신의 뿌리를 되돌아봅니다.

인터뷰> 황의삼 / 대전시 중구
"조형물 뒤에 글귀를 읽어 보니까 장수 황씨에 대한 모든 게 새겨져 있어서 우리 성씨가 옛날에 이랬구나... 하는 자부심도 많이 느꼈고..."

뿌리공원 안에서 만날 수 있는 족보박물관.

인터뷰> 심민호 / 한국족보박물관 학예사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성씨의 유래와 역사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공간입니다."

다양한 족보 유물이 전시된 이곳, 나무 모양으로 그린 한 족보가 눈길을 끕니다.

현장음>
"조상이 뿌리가 되고, 후손은 나뭇가지·나뭇잎이 되겠죠."

우리나라의 성씨는 5천 5백여 개에 본관은 무려 3만 6천여 개.
박물관에서는 인구 천 명이 넘는 성씨 8백여 개를 소개하고 있는데요.
종이에 인쇄를 한 족보를 통해 한지 문화의 중요성도 알게 됩니다.

인터뷰> 한윤희 / 명지대 문화재보존관리학과 교수
"재료와 기술은 당시에 가장 좋은 기술과 최고의 한지로 만든 족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은 '인터넷 족보 시대'로 불릴 만큼 족보 역시 빠르게 변하고 있는데요.

현장음>
"CD롬·DVD·비디오 족보가 불과 2~30년 사이에 만들어졌지만 이제는 이것도 사라져서 찾아볼 수 없는..." ??

인터뷰> 변상원 / 대학생
"박물관 체험을 통해서 저희 성씨, 그리고 족보에 관하여 더 자세히 알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새해를 맞아 박물관에서 펼쳐진 족보 가방 만들기 체험,

인터뷰> 심민호 / 한국족보박물관 학예사
"뿌리공원에 있는 성씨 조형물 스티커를 이용해서 가방을 만들어 가실 수 있는 체험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장음> 최재혁 / 대학생 도슨트
"족보 가방을 만들 거예요, 저를 보고 따라 하시면 돼요~"

대학생 해설가 설명에 따라 관람객들이 먼저, 골판지로 상자를 만들어보는데요.
똑딱이 단추로 고정시킨 뒤 끈으로 연결하고, 뿌리 스티커로 멋지게 장식해 나만의 가방을 만들어갑니다.

현장음> 최재혁 / 대학생 도슨트
"244개의 뿌리공원 스티커예요 여기서 원하시는 것 하나씩 붙이시면 돼요."

이어 뿌리공원에 설치돼 있는 244개의 성씨 조형물 스티커 중 스티커 하나를 골라 각자 개성에 맞게 장식하는데요.
서투른 어린이를 위해 함께 온 어른이 거들어줍니다.

현장음>
"좋아하는 성씨를 찾아서 예쁘게 붙이는 거야, 붙이고 싶은 대로..." ?

이제 친환경 족보 가방이 완성됐는데요.

인터뷰> 원서우 / 초등학생
"할머니·동생이랑 가방을 만들어서 정말 재미있어요. 제가 만든 가방이에요. 예쁘죠?"

외손녀와 함께한 할머니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됐다며 좋아합니다.

인터뷰> 백미화 / 대전시 중구
"평소에 왔던 것과는 다르게 의미 있는 시간이 됐고 좋은 추억 만들고 가요."

족보 가방 만들기 체험은 오는 2월 중순까지 계속되는데요.
박물관 현장을 찾아 신청하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설 명절을 앞두고 관심을 끄는 이곳 뿌리공원과 족보박물관은 무료로 운영됩니다.

(촬영: 박성애 국민기자)

박혜란 국민기자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성씨의 근원을 알 수 있는 족보박물관, 새해를 맞아 이곳에서 조상의 뿌리도 되돌아보고, 족보 체험도 해 보는 특별한 시간을 가져보시면 어떨까요?"

국민리포트 박혜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