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해상 교류의 역사 '황해교류박물관' 관심 끌어
등록일 : 2025.02.14 13:35
미니플레이
권나현 앵커>
우리나라와 중국 사이에 있는 바다 서해는 옛날에 '황해'로 불렸는데요.
해상 교류의 중심지였던 신안의 한 섬에 얼마 전 '황해교류박물관'이 생겼습니다.
과거 황해 교류 역사를 알 수 있는 이곳을 김남순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남순 국민기자>
(전남 신안군)

목포에서 다리를 건너면 다다르는 섬 압해도, 멀리 김이 자라는 김발과 다도해 풍경이 바라보이는데요.
지난달 이곳 섬에 문을 연 황해교류박물관, 신안 앞바다에서 발굴된 신안선 같은 모습인데요.
박물관 안에 들어가면 황해와 관련된 그림이나 지도를 볼 수 있습니다.
황해는 한국의 서쪽과 중국의 동쪽 사이 바다의 국제적인 명칭.
1737년 프랑스 지리학자 당빌이 중국 황하에서 흘러든 탁한 강물이 바다를 물들이는 것을 보고 이름 지은 것입니다.

현장음>
"우리나라에서만 '서해'라고 명명하고 있나요? 국제적으로는 '황해'인데..."

인터뷰> 남기준 / 전남 목포시
"서해를 국제적인 명칭으로 '황해'라고 하는구나... (알게 됐고) 더 우리나라 황해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것 같습니다."

'교류의 중심 황해'라는 주제로 선보인 전시 공간.

현장음>
"황해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곳이 '흑산도'입니다."

흑산도는 과거 중국과의 문화 교류나 무역 교류가 이뤄진 중심지.
흑산도에 남아 있는 무심사터 주변에서 발굴된 유물을 이곳에서 볼 수 있는데요.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 상감 향로부터 제사터에서 나온 흑유잔과 그릇도 있습니다.
흑산도 무심사는 중국 유학을 가던 선조들이 머물며 무사 항해를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통일신라시대 학자인 최치원이 흑산도를 거쳐 간 일대기를 그림으로 보여줘 당시 황해 길의 중요성을 알 수 있습니다.
700 여 년 전 중국에서 일본으로 가다 풍랑으로 침몰한 무역선인 신안선의 모형을 보여주는데요.
당시 이 배에서 많은 유물이 발견된 의미를 학예연구원이 설명해 줍니다.

현장음>
"우리나라의 수중고고학을 태동시켰던 동북아, 세계사적으로 살펴볼 때도 가장 손에 꼽히는 해양 고고학의 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황해 역사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사실은 표류의 역사!
신안 우이도 출신인 홍어 장수 문순득이 풍랑을 만나 지금의 오키나와인 일본의 류쿠 왕국에 이어 필리핀까지 표류했는데요.
스페인이 점령했던 필리핀에서 서양 문화를 만난 뒤 3년 후 우이도로 돌아온 문순득을 소개한 전시공간.
우이도로 유배 왔던 정약전이 그에게서 표류 경험을 듣고 '표해시말'이라는 책을 썼다고 소개하는데요.
원본은 없고 다른 기록을 통해 전해지는 이 책은 19세기 동아시아 해양 문화의 특징을 알 수 있습니다.

인터뷰> 주민숙 / 전남 목포시
"신안이 어떤 교류의 중심적인 역할을 했었다는 것에 대한 자부심을 많이 느껴졌습니다."

1851년 폭풍우로 파손된 프랑스 포경선 나르발호 선원들이 신안 비금도에 머물렀던 사실도 소개했는데요.
섬 주민들이 이방인을 보살펴주고, 중국에 있었던 프랑스 영사 원정대가 찾아와 문화를 나눴다는 사실을 전합니다.
커다란 스크린 앞에 이야기책을 꽂으면 표류했던 외국인이 남긴 이야기를 화면으로 보여줍니다.

현장음>
"한국 사람들은 연장자들을 존중하고 아이들은 밤낮으로 독서하고..."

인터뷰> 조경렬 / 전남 신안군
"황해에 대해 전반적으로 자세하게 알 수 있어 좋았고 체험 공간도 많아서 색다른 경험인 것 같아요."

황해 관련 문화교류사 전시도 열렸는데요,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불교가 들어오고 예술과 교역까지 황해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그림으로 보여줍니다.

인터뷰> 곽승혁 / 신안군 학예연구원
"동북아 삼국을 여는데 있어서 빠질 수 없는 곳은 바로 황해입니다. 그 역사의 현장을 이곳에서 살펴보고 우리가 앞으로 황해를 향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서 황해교류박물관을 건립하게 됐습니다."

황해 교류의 역사를 조명하는 이곳 박물관은 월요일을 제외하고 연중 무료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
(취재: 김남순 국민기자 )

김남순 국민기자
"과거 해상교류의 중심지였던 신안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한 황해교류박물관. 국민의 관심을 끄는 역사 문화 공간이자 새로운 지역 명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리포트 김남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