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3·1절 맞아 '유관순 열사' 애국정신 되새겨
등록일 : 2025.02.28 13:25
미니플레이
권나현 앵커>
내일은 일제에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106년 전 온 겨레가 하나 됐던 3·1절인데요.
만세운동에 앞장섰다 꽃다운 나이에 옥사한 유관순 열사.
이 유관순 열사의 모교에 있는 독립운동기념관에 추모객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독립운동가의 나라 사랑 정신을 되새기는 현장을 박혜란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박혜란 국민기자>
(장소: 영명중고등학교 / 충남 공주시)

충남 공주에 있는 영명중고등학교, 지난 1906년 미국 선교사 윌리엄이 설립했는데요.
이 학교를 다녔던 유관순 열사의 동상, 독립운동가의 얼을 기리기 위해 학교 운동장에 세웠습니다.

현장음>
"(유관순 열사는) 공주에 내려오셔서 저희 영명학교에 약 2년에 걸쳐서 수학하게 됩니다."

유관순 동상 바로 옆에 당시 교장이었던 사애리시 동상도 있는데요.
학교 설립자의 부인인 사애리시는 천안에서 살았던 11살 소녀 유관순을 데려와 공부할 수 있도록 후원했고, 이화학당으로 서울 유학의 길도 열어준 분입니다.

인터뷰> 여양현 / 공주 영명중고등학교장
"(유관순 열사가) 워낙 똑똑하기 때문에 더 큰물에 가서 놀아라... 그런 측면에서 장학생으로 이화학당에 전학을 보낸 것 같습니다."

(공주독립운동기념관 / 충남 공주시)

이 학교에 있는 공주 독립운동기념관, 교사와 학생들이 1919년 공주 만세운동을 주도한 것을 기념하는 공간인데요.
이곳에 전시된 흑백사진.
3·1 만세운동 4년 전인 1915년 당시 영명학교 학생들의 단체 사진으로 유관순 학생의 모습도 보입니다.

현장음> 임재일 / 공주독립운동기념관장
"2년 전에 미국에 계신 선교사분이 이 사진을 기증하면서 앞에서 세 번째, 옆에서 세 번째 인물이 유관순인 것으로 추정돼서..."

또 영명학교 시절 12살의 앳된 모습부터, 이화학당에 다닐 때 활짝 웃는 모습, 3.1 만세운동으로 체포돼 고문을 받아 부어오른 살을 제거한 모습까지, 새롭게 보정 작업을 거친 사진도 보입니다.

현장음> 임재일 / 공주독립운동기념관장
"아파 보이는 사진만 있어서 컴퓨터로 웃는 모습으로 해 본 거예요, 보니까 느낌이 어때요?"
"가슴 아파요, 웃는 모습을 처음 봐가지고..."

인터뷰> 전지현 / 공주고 3학년
"교과서나 인터넷에서 고문으로 부은 얼굴만 봤는데 소중한 계기가 된 것 같아서 좋았어요."

유관순 열사가 독립운동사를 설명하는 인공지능 영상을 볼 수 있고,

현장음>
"영명학교는 공주 지역 항일운동의 중심 역할을 했답니다."

QR코드를 활용해 증강현실로 나타난 유관순 열사와 기념사진도 찍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전지우 / 공주여고 1학년
"좋은 경험을 한 것 같아서 기분 좋고 뿌듯합니다."

천안 병천에서 만세운동에 앞장섰던 유관순 열사, 공주 만세운동을 벌인 오빠와 함께 공주감옥소에 수감됐다 서대문형무소로 끌려가 모진 고문 끝에 불과 열일곱의 나이에 옥사했습니다.

인터뷰> 이소연 / 전남 무안군
"유관순 열사의 삶을 돌아보며 제가 19살이었으면 과연 3·1운동에 참여할 수 있었을까를 생각해보게 되었으며 이 역사를 잊지 말아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박혜란 국민기자
"유관순 열사는 바로 이 길을 따라 학교를 다녔는데요. 길옆 담벼락엔 이처럼 커다란 공주 만세운동벽화가 그려져 있습니다."

(공주 만세운동벽화 / 충남 공주시)

높이가 2.2m에 길이가 35m나 되는 대형 벽화, 입체적으로 장식된 독립선언문을 보면 뜨거운 감동을 느끼게 됩니다.

인터뷰> 이태욱 / 공주 영명고등학교 졸업생
"가슴이 뜨거워지고 여전히 그런 목소리가 잘 전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공주기독교박물관 / 충남 공주시)

1902년에 세워져 공주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 안에 있는 공주 기독교박물관.
유관순 열사와 사애리시 교장이 사용했던 그릇과 장식장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박계영 / 공주기독교박물관 학예 관리사
"사애리시 선교사님과 유관순 열사의 만남을 기억하면서 이곳에 차려놓게 되었습니다."

인터뷰> 석미경 / 충남 공주시
"공주에 유관순 열사의 흔적이 있는 게 시민으로서 굉장히 자랑스럽고 뿌듯합니다."

(3.1 중앙공원 / 충남 공주시)

일제강점기에 신사가 있었던 자리에 조성된 공주 3.1 중앙공원!
방문객들이 그날의 함성을 재연해봅니다.

현장음>
"대한독립 만세, 만세, 만세!"

(촬영: 박성애 국민기자)

박혜란 국민기자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온 겨레가 만세를 부른 3.1 독립운동,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나라 사랑 정신을 되돌아보는 뜻깊은 시간을 가져보시면 어떨까요?"

국민리포트 박혜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