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주황색 조끼 '디지털 안내사' 해결사 역할 톡톡
등록일 : 2025.03.28 13:04
미니플레이
권나현 앵커>
아날로그 환경에 익숙한 고령층은 디지털 세상이 달갑지 만은 않습니다.
누군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디지털 약자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분들을 현장에서 돕기 위해 '디지털 안내사'가 나섰습니다.
디지털 해결사 역할을 하는 안내사의 하루를 마숙종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현장음>
"버스 충전하려고 하시는 거죠?"
"네~"
"그럼 여기 교통카드 충전을 누르시고 카드를 올려놓으세요, 그리고 충전할 금액을 정하시는데요. 금액은 얼마를 하실 거예요?"
"1만 원..."
"그럼 1만 원을 누르세요!"

마숙종 국민기자>
(장소: 돌곶이역 / 서울시 성북구)

지하철역 무인충전기 앞에서 어르신이 주황색 조끼를 입은 디지털 안내사로부터 교통카드 충전하는 방법을 배우고 있습니다.

마숙종 국민기자
"키오스크, 기차표 예매 등 디지털 기기 이용이 어려울 땐 망설이지 말고 제가 입고 있는 주황색 조끼를 찾으면 도움받을 수 있습니다."

식당이나 카페 등 생활 곳곳에 설치된 '키오스크' 이들 기기에 접근이 어려운 고령자들을 도와주는 디지털 안내사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올해 상반기 디지털 안내사로 활동할 인원은 125명으로 2주간 교육과정을 거쳐 현장 대응능력과 전문성을 갖춘 해결사로 활동합니다.

(장위전통시장 / 서울시 성북구)

전통시장을 찾은 시민들에게 '디지털 동행수첩'과 '안내 전단지'를 나눠주고 '모바일 쿠폰 사용', '택시 호출' 등 스마트폰 실생활 활용법을 현장 또는 전화로 안내합니다.

인터뷰> 이용건 / 디지털 안내사
"처음에는 디지털 안내사가 뭐 하는 건지 잘 몰랐는데, 배우는 과정에서 어떤 일을 맡는지 알게 됐습니다. 고령자 여러분들도 배우면 저같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어르신을 가르치는 일에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현장음>
"네, 감사합니다, 디지털 안내사입니다."
"네 안녕하세요, 여기 석관실버복지센터인데요.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에 대해서 문의하고 싶은데요, 언제쯤 방문하게 되나요?"

(성북구립 석관실버복지센터 / 서울시 성북구)

어르신들이 둘러앉아 스마트폰을 들고 궁금한 것을 물어봅니다.
실버복지센터가 디지털 배움터가 됐는데요.
디지털 안내사 부재 시 콜센터로 전화하면 상담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영희 / 서울시 성북구
"지금 디지털 시대기 때문에 어디를 가도 키오스크가 다 되어 있어요. 그런데 저희들은 모르니까 남한테 신세 질 수밖에 없어요. 저 분들이 연세가 있어도 이런 것을 할 수 있구나... 라고 보여주고 싶어요. 그래서 배우고자 합니다."

인터뷰> 김승곤 / 디지털 안내사
"처음에 키오스크를 접했을 때 어렵고 힘들었는데 주변 분들의 도움으로 반복하다 보니까 그렇게 어렵지 않게 익힐 수 있더라고요. 그래서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 안내사가 됐으니까 디지털 약자분들에게 키오스크와 휴대폰 (사용법)을 알려 드리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서울 자치구별 50개 노선, 250곳에서 디지털 안내사.
2~3인이 한 조를 이뤄 활동하는데요.
노선별 주요 지점은 '찾아가는 디지털 안내사' 전단지 QR코드를 휴대폰으로 찍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숙희 / 서울시 디지털정책과장
"디지털 안내사분들이 250여 곳의 거점을 순회하면서 디지털 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장노년층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수요 분석을 통해 12개 노선을 변경하였으며 30만 명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촬영: 김창수 국민기자)

2022년 하반기부터 시작한 '디지털 안내사' 사업에는 지난해까지 모두 690명이 참여해 지하철역이나 복지시설 등에서 어르신 56만 명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는 해결사 역할을 했습니다.

국민리포트 마숙종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