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농사 활용 옛 과학기술 '앙부일구' 눈길 끌어
등록일 : 2025.07.04 13:45
미니플레이
육서윤 앵커>
농업사회였던 과거에는 농사를 짓는데 중요했던 것이 바로 '시간'이었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뛰어난 지혜와 과학기술로 해시계인 '앙부일구' 등 다양한 천문도구를 만들어 농사일에 활용했는데요.
농업과 관련된 천문도구 유물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전시 현장을, 노지원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노지원 국민기자>
첨단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농업부터 사람 대신 일을 척척 해내는 농업용 로봇까지.
농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현대 농업의 모습입니다.
기상예보를 통해 미리 날씨를 알 수도 있는데요.

(국립농업박물관 / 경기도 수원시)

그렇다면 과거는 어땠을까?
옛 농업과 관련된 천문도구 유물 전시가 국립농업박물관에서 열렸습니다.
<앙부일구, 풍요를 담는 그릇> 이라는 주제로 마련됐는데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를 활용한 전시장 입구, 관람객들의 움직임을 따라서 빛나는 별빛을 통해 자연과의 교감을 느끼게 합니다.

인터뷰> 김서연 / 경기도 광주시
"예전에 농사가 어떻게 됐는지 궁금해서 왔어요. 아빠랑 같이..."

하늘을 관찰하고 계절의 흐름을 살피면서 농사일에 중요한 시간을 예측했던 그 옛날, 해와 달이 뜨고 지는 시간이나 별자리의 이동을 알게 해주는 유물인 천문도구를 선보였는데요.
신라시대에 만든 해시계 조각, 1천 4백여 개의 별과 별자리를 돌에 새긴 조선시대 '복각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까지 있습니다.
선조들의 지혜와 과학기술의 발전을 엿볼 수 있는 유물도 선보였는데요.
조선시대에 제작된 정남일구, 지평일구, 그리고 앙부일구 등 해시계가 대표적입니다.
그림자를 통해 시간을 측정하는 다양한 모습의 앙부일구가 선보였는데요.
특히 눈길을 끈 것은 국립농업박물관이 소장 중인 다리 세 개 달린 '앙부일구'.

전화 인터뷰> 이윤희 / 국립농업박물관 전시팀 선임
"앙부일구가 저희 국가유산으로 등재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전시를 준비했습니다. 농사의 절기와 관련된 그런 내용들을 같이 담을 수 있을 것 같아서..."

높이 15cm에 지름 32.4cm, 무게 10.9cm인 이 '앙부일구'.
보통 앙부일구와 달리 선과 방위를 생략한 대신 절기를 알 수 있는 11개 선을 새겼습니다.
또 용머리 받침대 세 개위에 반구형 시계판이 있고, 그 중앙에 있는 화살촉 모양인 영침의 그림자로 시간과 절기를 알 수 있었는데요.
한낮 정오 무렵 정밀 작동해 농사 작업 시점을 알렸습니다.

현장음>
"여기 끝에 보이지, 여기 끝으로 해서 지금이 몇 시구나, 이렇게 알 수 있었대..."

인터뷰> 김민규 / 경기도 수원시
"(앙부일구가) 옛날에 있었고 더 이상 없는 줄 알았는데 여기 있어서 신기해요."

인터뷰> 이지희 / 경기도 수원시
"앙부일구 전시 보려고 왔어요. 아이가 좋아해서..."

인터뷰> 최한빛 / 경기도 수원시
"해시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원리도 알게 되고 농업이라는 소재와 연결돼서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동서양의 천문도구도 볼 수 있는데요.
태양과 별의 고도를 측정해 시간을 계산하던 서양의 천문도구 '아스트롤라베', 동양의 전통 우주론을 담은 시계인 '혼개통헌의'도 있습니다.

노지원 국민기자
"이곳에서는 미디어 아트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앙부일구 속 그림자를 확인할 수 있고, 계절과 농사의 흐름을 생생히 만나볼 수 있습니다."

미디어로 구현된 동궐도 모습인데요.
다양한 조선시대 기상관측 도구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계절 체계에 맞게 조선시대에 편찬된 서책인 '농사직설'과 '농가집성'도 있고, 농사와 농촌 모습을 담은 조선시대 그림 '빈풍칠월도'와 '경작도' 등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계절별로 사용했던 예전 농사 도구도 선보였는데요.
씨앗을 뿌릴때 쓰던 종다래끼와 고써레, 김매기 작업 때 쓰던 깍지와 토시, 수확한 곡물을 걸러냈던 키와 도리깨, 씨앗이나 곡식을 보관했던 둥구미도 보입니다.
전시를 관람한 뒤에는 내가 태어난 날과 가까운 절기의 디지털 엽서를 만들어보는 체험도 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배성아 / 경기도 수원시
"아이들이 터치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쉽게 다가가는 기획 전시가 된 것 같아서 좋습니다."

인터뷰> 조기식 / 경기도 화성시
"아이들의 흥미를 끌게 잘 되어 있어서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다양한 농사 관련 유물을 보면서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이번 전시, 오는 9월 14일까지 월요일을 제외하고 무료 관람할 수 있습니다.

(촬영: 최미숙 국민기자)

노지원 국민기자
"우리 선조들은 하늘의 오묘한 질서를 과학기구로 관찰하면서 삶의 풍요를 꿈꿨는데요. 소중한 문화유산의 가치를 되돌아볼 수 있는 이번 전시를 한번 찾아보시면 어떨까요?"

국민리포트 노지원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