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내일 연결, 혁신, 번영

공통뷰

K-컬처 열풍 속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 관심
등록일 : 2025.10.18 11:35
미니플레이
배은지 앵커>
우리나라에 체류 중인 외국인이 260여만 명이나 될 정도로 많은데요.
'K- 컬처' 열풍 속에 외국인이 참여한 한국어 말하기 대회가 세종시에서 열려 눈길을 끌었습니다.
전래동화부터 구수한 사투리까지 선보인 경연 현장을, 천지애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천지애 국민기자>
우리나라에 체류 중인 외국인은 260여만 명, 학업부터 근로, 관광까지 다양한 이유로 우리나라에 머물고 있습니다.

인터뷰> 카카치아 니노 / 조지아 유학생
"여기서 석사 과정을 하고 싶어서 왔습니다. 장학금 받고 지금 장학생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갈다 나즈마, 스리타마 다스 사르마 / 인도네시아 유학생
"한국에서 좋아하는 게 여러 가지 있는데, 특히 한식 좋아하고 예능과 부산 어묵 좋아해요."

천지애 국민기자
"'한류 열풍'이 지구촌 곳곳으로 확산되고 있는 요즘, 이곳 세종시에서는 한국어를 얼마나 잘하는지 외국인들끼리 겨루는 열띤 경연이 펼쳐졌습니다."

(장소: 세종호수공원 / 세종시 세종동)

모두 10개 나라에서 13개 팀이 참여한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 이번 대회 사회자는 두 외국인인데요.

현장음>
"여러분, 많이 기대 되시죠?"
"네~"
"그럼 큰 박수로 한번 모셔볼까요?"
"안녕하세요~"

현장음>
"저희는 기호 2번 나즈마. 스리타마라고 합니다."

인사말을 시작으로 경연 열기가 뜨겁게 달아올랐는데요.
참가자들은 저마다 갈고 닦은 한국어 실력을 뽐냈습니다.

현장음> 엔크투야 오트곤치메그 / 몽골
"저는 한국어를 배우면서 제 인생이 많이 달라졌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어는 저에게 세상의 문을 열어줬습니다."

우리 전래 동화를 실감 나게 표현하는가 하면,

현장음>
"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
"커다란 호랑이가 불쑥 나타나 길을 막았어요. 엄마는 벌벌 떨면서 말랑말랑한 떡 하나를 주었어요."

무분별한 외래어 표현과 한국인도 헷갈리기 쉬운 표현이 있다는 외국인도 있습니다.

현장음> 라술로바 오이샤콘 보티르존 키지 / 우즈베키스탄
"일상생활 속에서 헷갈리기 쉬운 한국어 변형과 불필요하게 쓰이는 외래어를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정겨운 부산 사투리를 구사해 눈길을 끌기도 하는데요.

현장음>
"바다 좀 봐라. 부산 감성 제대로잖아."

한국어가 능숙하든 서투르든 관객들은 외국인들의 모습에 감동을 받은 듯 열띤 박수를 보냅니다.

인터뷰> 신민세 / 서울시 도봉구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쓰는 모습을 봤는데 굉장히 신기하고 외국에 우리 문화와 한국어를 많이 알려야겠다는 생각했어요."

인터뷰> 우희진 / 전북 전주시
"K-팝, 이런 게 외국인들에게 정말 직접적으로 영향을 많이 끼쳤다는 게 신기하기도 하고요. 저희 아들도 한글을 열심히 가르쳐야 할 것 같습니다."

현장음>
"세종대왕 최고~"

국적은 다르지만, 한국어 실력을 선보인 외국인 참가자들은 뿌듯함을 느끼는데요.

인터뷰> 아류나 / 몽골
"너무 기쁘고 제가 한 번 더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얻는 것 같아 좋습니다."

인터뷰> 엘비스 / 케냐
"(무대) 위에서 한 말보다 제가 평소에 말을 더 잘한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무대에서 잘했나 싶습니다. 그래도 뿌듯하고 행복해요."

이번 대회 심사는 세종학당에서 추천한 전문가 2명과 세종문화도시산업재단에서 문해력 강의를 맡고 있는 강사 1명이 맡았는데요.
심사위원단의 평가 70점과 현장 인기투표 30점 등 100점 만점으로 최종 순위를 매겼습니다.

인터뷰> 스리잔 꾸마르 / 부산외국어대학교 부교수
"평가 기준은 3가지 있는데 하나는 내용, 두 번째는 창의성이고 세 번째는 언어 사용입니다."

인터뷰> 임진아 / 세종시 한글문화도시센터 한글문화도시사업팀장
"저희 세종시가 올해 세계를 잇는 한글문화도시 사업을 시작하게 되면서 한글 문화를 어떻게 하면 세계에 알릴 수 있을까... 라는 고민을 통해서 나오게 되었습니다."

한글문화의 확산을 위해 마련된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 한국어 실력이 가장 우수한 인도네시아 참가자가 영예의 대상을 받았습니다.

현장음>
"바로 인도네시아에서 오신 9번째 팀 '파히라 아르디닌 호트르'입니다."

천지애 국민기자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이 참여한 한국어 말하기 대회. K-컬처 열풍 속에 한국 문화는 물론 한국어에 대한 전 세계인들의 관심이 얼마나 뜨거운지 실감 나게 했습니다.

국민리포트 천지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